요약

  • 중국 위안화 약세의 의미: 환율 동조화에 따른 원화의 약세
  • 중국 위안화 약세의 원인
    • 경기 악화에 따른 수출 감수 -> 경상수지 악화에 따른 원화 약세
    • 강한 유가 상승에 의한 경상수지 악화

새 창에서 열기

요약

  • 가격

    • 원가측면: 8인치 파운드라 전용장비 단종 -> 증설 불가-> 8인치 파운드리 생산 부족 -> 파운드리 비용상승 -> DDI가격 상승
    • 마진율측면: 단가가 높은 oled 중심의 납품, ASP 6.9$에서 8.8$까지 상승 예상
  • 수량: 동사가 가진 Novatek 과의 가장 큰 차별화 요인은 OLED 제품 다변화

새 창에서 열기

https://www.youtube.com/watch?v=5Sgmp1aUjnA 


 

고열을 가해 모래안의 규소(SiO2)를 탄소화합물로 환원
메탈실리콘(MG-Si)은 폴리실리콘의 주원료인데, 왼쪽이 폴리실리콘 오른쪽이 메탈실리콘임. 겉보기에는 별차이가 없는데 순도에서 차이가 있음. 메탈실리콘은 99% 순도이고, 폴리실리콘은 99.99999%순도임. 태양열 패널에는 매우 높은 순도의 폴리실리콘이 사용됨.

 

메탈실리콘(MG-Si)을 주원료로 하여 수소, 염산 등과 반응시키고 제조된 혼합실란을 증류공정을 통해 고순도의 삼염화실란(TCS)을 제조. 이를 다시 고온 상태에서 화학적 증착 반응시켜 고체상태의 고순도 폴리실리콘(Polysilicon)을 제조.

210825_잭슨홀 미팅을 바라보는 시각, 최근 주가와 불균등 경기회복의 관점에서.pdf
1.1 MB

잭슨홀 미팅을 바라보는 시각:최근 주가와 불균등 경기회복의 관점에서

  • 시장이 지난주 조정의 주요 원인을 FOMC 의사록에 등장한 조기 테이퍼링 언급 때문으로 해석하고 있기 때문
  • 선진국과 신흥국간 증시 차별화에 대한 설명력이 제한적이라고 생각
  • 델타 변이 확산세 속에서 선진국의 부스터샷 접종 현실화는 서비스업 중심으로 신흥국의 경기 회복을 지연시킬 요인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나타난 미국 통화정책 조기 정상화 소식은 펀더멘털이 상대적으로약한 신흥국 증시에 부담을 가중시켰다.

바이러스 확산에도 상승하는 미국 증시, 그 이유는?

  • 모더나, 화이자 백신의 감염 예방률이 2월 91%, 89%에서 7월 76%, 42%로 감소
  • 바이러스가 증시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인 이유는 낮아진 사망률과 충분한 백신때문
  • 낮아진 사망/입원률과 충분한 백신 공급량이 봉쇄의 필요성을 감소

IoT장비의 한계인 베터리문제, 고주파로 해결?

  • IoT 장비들이 존재해 사람들의 삶의 질을 높여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하지만 IoT 장비의 가장 큰 문제는 전력공급 문제다. 수많은 장비들의 배터리를 하나씩 교체하기에는 무리가 있기에 연구진들은 에너지 하베스팅 방법으로 IoT 장비에 전력을 공급하려 한다.
  • 에너지 하베스팅은 생활 속에서 버려지는 에너지를 수집해 전력으로 바꿔 활용하는 기술로 가장 많이 쓰이는 네 가지 원리는 압전효과, 열전효과, 광전효과, 그리고 RF이다. 조지아 공대 연구진은 최근 RF원리를 활용한 에너지 하베스팅을 연구하고 있다.
  • 흔히 우리가 걸을 때마다 발바닥에서 생기는 압력에너지, 자동차나 기차가 움직일 때의 진동과 열 에너지들을 수집해 전기로 바꿔 쓰는 개념이 에너지 하베스팅이다
  • 압전효과는 어떤 물질을 기계적으로 누르면 양전하와 음전하가 나뉘는 ‘유전 분극’을 일으켜 표면의 전하 밀도가 변하면서 전기가 흐르는 개념이고 열전효과는 온도차이가 날 때 전류가 흐르는 현상을 통칭한다. 광전효과는 금속 등이 전자기파를흡수할 때 전자를 내보내는 현상이고 RF는 전파를 이용한 무선 통신을 뜻하며 공기 중의 전자기파를 수집해 전기로 바꾸는 개념이다

새 창에서 열기

요약

  • 글로벌 컨테이너선사 2Q21 실적발표에서 2021년 가이던스 상향. 여기에 연말까지 SCFI상승이 지속될 것이라는 언급. 그러나 주가는 큰 반응이 없었음(Maersk, Hapag-Lloyd, ZIM)
    • 해석1. 2021년까지 SCFI상승이 이어질 것이라는 기대감이 이미 주가에 반영된 것으로 판단함. 결국 2022년 SCFI를 전망해야 매수/매도 의견이 도출 가능.
    • 해석2. 컨테이너선사 PBR이 높아진 상황에서 시장은 더 높은 SCFI 상승률을 원하고 있음.
  • 컨테이너선 부족이 아니라 컨테이너박스 회전율이 낮아져서 SCFI가 지속적으로 상승함. 컨테이너선 수주잔량이 20%까지 상승했는데 항만적체현상이 끝난 이후에는 공급과잉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보임 → Super-Cycle 가능성은 낮음
  • 1Q22까지 SCFI상승 전망 유지

새 창에서 열기

요약

  • 라이다 자율주행은 두 가지의 단점을 지님: 1. 높은 설치비용(대당 최소 5만달러), 2. 정밀 지도 구축의 어려움으로 인한 확장성 제한
  • 쉽게 말하면, 라이더 자율주행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Mapping을 위한 센서를 장착한 차량을 필요한 지역에 배치하여 정밀지도를 구축해 나가는 방법이 일반적인데, 이는 확장성을 크게 제한하는 걸림돌
  • 해결책으로는 각 라이더 차량 유저가 유저인 동시에 매핑을 실행하는 콜렉터로써, 집단 맵핑을 클라우드 상에서 시행하는 방법
  • 이 해결책의 단점으로는, 맵핑을 실행하는 유저의 자율주행이 매우 큰 사고 위험도에 노출되어 있다는 점

새 창에서 열기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