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NBER(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의 경기후퇴 판단 조건은 단순 2분기 연속 GDP 성장률 감소가 아닌 실질 개인 소득 등 8개 항목
- 실질 개인소득, 비농업 취업자수, 실질 개인소비지출, 실질 제조업 및 도소매 판매, 가계조사 고용, 산업생산 지수, 실질 GDP, 실질 GDI
- 실질 제조업 및 도소매 판매, 실질 GDP 이외 6개 Factor는 견고한 흐름 유지 中
미국 GDP는 재고투자 및 순수출 영향으로 (-) 기록 중이나 민간 소비는 축소 가능성 적어 경기 후퇴 가능성 低
- 유형자산 투자, 자금 조달 어려움으로 축소될 가능성 高
- 그러나 민간 소비의 경우 1) 실질 가처분소득 증가 2) 초과저축의 존재 3) 가계 순자산 증가 4) 가계부문의 디레버리징의 요인으로 축소 가능성 낮아 GDP 전체 하락 가능성 또한 低
현재는 '08년 금융위기로 인한 경기 후퇴와는 다른 양상
- '08년 금융위기 시 가처분소득 대비 원리금 상환부담 역사적 고점으로 소비 조정 불가피('08년 13.1% -> '12년 9.8%)
- 단, 경기후퇴 현실화될 시 '08년 시나리오보다 '00년 IT버블 붕괴시의 시나리오와 유사하며 소비의 조정은 적고 투자 조정으로 인한 GDP감소 발생할 것
'Finance Investment > Investment_report'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1007_수익 극대화를 위한 펀드 운영 전략, 투자운용사와 VC의 역할 (0) | 2022.10.07 |
---|---|
220828_소심한 세계화가 인플레이션을 높인다 (0) | 2022.08.28 |
220810_전략공감: What Recession?, 현재의 경기후퇴 가능성, 현시점 예상되는 경기후퇴의 유형 (0) | 2022.08.10 |
규제를 평가할 수 있나?, 후원자와 규제자로써의 정부, 정부가 기업의 성장 변수에 미치는 영향 분석 (0) | 2021.09.08 |
210820_PMI ISM 해설, 어떻게 산출하나, 왜 중요하나 (0) | 2021.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