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bok.or.kr/portal/bbs/B0000217/view.do?nttId=10047140&menuNo=200144&listType=G&pageIndex=13

https://www.bok.or.kr/portal/bbs/B0000217/view.do?nttId=10047140&menuNo=200144&listType=G&pageIndex=13

 

Q: 코로나 기간 동안 FED가 구매한 미정부 국채는 4조$ 규모였음. 일반적인 양적완화란 본원통화 증대 통해 국채 등 자산을 매입하는 것이지만, FED의 본원통화는 코로나 기간동안 700억$ 수준 밖에 증가하지 않았음. 어떻게 700억$로 4조$규모의 국채를 매입할 수 있었던 것인지? 


A: 쉽게 이야기하면 연준이 발행한 본원통화는 700억$ 이지만, 그렇게 은행권으로 뿌려진 돈이 신용창출되어 최종적인 발행량은 그것보다 훨씬 더 큰 규모가 되기 때문임.

 

이것은 혼동의 일반적인 영역이므로, 이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것은 전적으로 옳습니다! QE 동안 연방준비제도의 채권 매수는 은행을 위한 준비금을 생성하지만, 이러한 준비금은 종종 M1 및 M2와 같은 지표로 측정되는 유통 중인 광범위한 통화 공급에 직접 들어가지 않습니다. 작동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준비금 vs. 유통 중인 돈 : Fed가 QE를 통해 채권을 매수하면 상업 은행에 추가 준비금을 입금합니다. 이러한 준비금은 Fed의 계좌에 보관되며 가계와 기업이 이용할 수 있는 유통 중인 현금이나 은행 예금(M1 및 M2의 구성 요소)으로 자동으로 광범위한 경제에 유입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은행 준비금이 증가하더라도 이 증가가 반드시 경제에 새로운 돈이 유통되는 것으로 이어지지는 않습니다.
  2. 은행 대출 제한 : QE에서 생성된 준비금이 더 광범위한 통화 공급에 영향을 미치려면 은행이 해당 준비금을 대출해야 합니다. 그러나 실제로 은행은 준비금을 직접 사용하여 대출을 하지 않습니다(대출은 사용 가능한 준비금보다 자본 및 준비금 요건과 더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 준비금이 충분하더라도 경제 상황이나 차용인의 신용도가 뒷받침되지 않으면 은행은 대출을 보류할 수 있습니다.
  3. 통화 공급 데이터와 QE : 연방준비제도이사회 경제 데이터(FRED)는 QE가 통화 기반(은행 비축금과 유통 통화)을 늘리는 반면, 이는 현금과 지출에 더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예금을 반영하는 통화 공급 측정치 M1과 M2의 비례적 증가와 동일하지 않음을 보여줍니다. 특히 COVID-19 동안 눈에 띄게 나타난 M1과 M2의 급증은 직접적인 재정 조치와 대출 프로그램과 같은 다른 Fed 조치 때문이었습니다.

본질적으로 연준은 양적완화를 통해 준비금을 창출할 수 있지만, 그 준비금이 '신규 통화'로 실물 경제에 유입되느냐의 여부는 은행의 대출 활동과 대출에 대한 경제적 수요에 크게 영향을 받습니다.

 

FED 본원통화량 및 변화율

 

M1 및 M2 화폐량: 코로나 기간 본원통화 증가률에 비해 큰 폭으로 증가했음을 알 수 있음

 

 

 

 

SWOT

Strength

  • XXX

Weakness

  • XXX

Opportunity

  •  

Threat

  • XXX

 

Query

  • 바이든의 LNG 금수 조치는 뭘까?

 

  • 파쇄법 통해 석유 생산 시 부가적인 LNG가 많이 나오는데, 이거 대부분 버리고 있다고.. 이거 팩트 맞나? 미국의 LNG 생산이 늘어나고 있나?

 

  •  

 

Market

Applications

  • Application1
  • Application2
  • Application3

Market Size

  • XXX

Competition

Competitors

  • XXX

Market KBF

  • XXX

Company KSF

  • XXX

Competance

  • XXX

Growth Theory

  • XXX

Company_United Rentals

ValueChain

  • XXX

Business Model

  • XXX

Applications & Clients

  • XXX

Financial Status

  • XXX

Share holders

  • XXX

TOP Managers

  • XXX

Valuations

  • XXX

Conference Call

  • XXX

Company IR

  • XXX

Analyst Report

  • XXX

'Finance Investment > 기업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1010_코스메카코리아  (2) 2024.10.10
240911_[Who Is ?] 최윤소 티앤엘 대표이사  (5) 2024.10.02
240725_United Rentals  (0) 2024.07.25
240511_서진시스템 기업분석  (0) 2024.05.11
240419_에스비비테크  (0) 2024.04.19

* 부하(Load, 負荷): 전기를 소비하는 기기를 의미하며 전기를 공급하는 곳을 전원, 소비하는 곳을 부하
* 부하추종운전: 부하추종운전(負荷追從運轉)은 부하의 변동에 대응하여 발전량을 조정하는 운전
* BTM(Behind of the Meter): 전력 계량기의 뒷단인 주택, 상업 시설과 연결되는 주거용/상업용 ESS
* BTM(Behind-The-Meter) 연계 용량: 분산형 에너지원(태양광 발전, 에너지 저장 장치 등)이 전력망과 연계되어 현장 내에서 사용 가능한 최대 전력 용량을 의미
* LMP: 현재 국내 전력시장에 적용 중인 SMP와 달리 위치에 따라 발생하는 송전혼잡에 의한 비용과 송 전손실에 의한 비용을 고려한 지역별 한계가격제
* 기저부하: 매일 매시 꾸준히 돌리는 발전량. 원자력 발전소와 유연탄 발전소가 기저부하를 담당
* 첨두부하: 전기 사용량이 많은 시점(13-15시정도)의 부하이며 이때는 LNG와 중유발전, 양수발전이 전기 사용량에 따라 부하를 조정하며 운전합니다.
* 총부하: 한 배전선로에 걸려 있는 모든 전기 부하(소비 전력)의 총합입니다. 이는 선로에 연결된 가정, 상업용 건물, 공장 등 모든 전력 사용처의 소비량을 반영한 값
* 순부하: 총부하에서태양광과 풍력 부하를 차감한 순부하(Net Load)
발전소에서 수요자들에게 공급해야 하는 전력량. 총부하는 수요 + 배전상의 이동 전기 + 잉여전기 등을 모두 포함한 개념

1. 왜 미국 M1 통화가 4배 증가하는 동안 M2 통화는 1.5배 증가에 그쳤을까?

미국 M1 통화량과 2020년 코로나가 터지고 나서 무려 4배가 증가하였다. 하지만 M2 통화량은 1.5배 증가하는데 그치고 있다.

M1 통화는 바로 현금 + 은행에서 현금으로 인출할 수 있는 통화를 의미

M2 통화는 M1통화 + 2년 미만의 예적금 등, 즉 현금화 시키는데 시간이 걸리는 통화를 의미

2. 통화의 증가는 은행의 "신용창조" 활동 = 대출 없이 M2 통화 증가 없다

중앙은행에서 시중은행에 1억원의 돈 (본원통화, M0) 을 풀었다고 가정하면, 은행은 1억원중에 지급준비금(지급 준비율10% 가정) 1천만원을 제외하고 대출을 실시한다.

그럼 은행에 1천만원만 남고 9천만원은 대출을 통하여 시중에 풀렸다가 9천만원은 다시 은행으로 돌아온다.

은행으로 돌아온 9천만원중 지급준비금 9백만원(지급준비율 10%)을 제외하고 8천1백만원은 대출을 통하여 시중에 다시 풀리게 된다.

이론적으로 신용창조 가능금액은 본원통화(M0) X 지급준비율의 역수인데, 지급 준비율이 10% 라면 중앙은행이 1억원을 돈을 풀면 신용창조로 10억원 돈이 유통하게 된다.

지급준비율이 5%라면 1억원 X 20 = 20억원의 돈이 유통하게 된다.

3. 경기가 나빠지면 은행의 대출이 줄어 든다..

신용창조는 은행의 대출을 통하여 증가한다.


불황이라면 은행이 대출하였는데 돈을 회수할 수 가능성이 줄어들고 대출을 축소하게 된다.

따라서 중앙은행에서 본원통화를 풀더라도 은행의 대출이 증가하지 않고 신용창조를 통한 통화량 증가가 일어나지 않게 된다.

4. 돈이 얼마나 잘 도는지를 알아보는 지표가 '통화유통속도'이다.

시중에 풀린 돈의 양뿐 아니라 그것이 얼마나 자주 손이 바뀌고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분기별 명목 GDP를 분기별 M2 통화량으로 나눈 것으로 불황일때 통화유통속도가 떨어지고 경기가 회복하면 증가한다.

코로나 발생전 1.4였던 지표가 1.1까지 하락하고 현재는 회복중에 있습니다.

미국 통화 유통 속도 (분기별GDP / 분기별 M2)

미국의 통화 유통 속도 그래프를 보면 2020년 코로나 팬데믹이 발생하면서 경기가 위축되면서 통화 유통속도가 절벽처럼 축소 되었다.

따라서 1번에서 코로나 팬데믹 기간 동안 M1 통화가 4배 증가하여도 M2 통화는 1.5배 증가하는데 그치는 이유인것이다. 미국 재무부가 돈을 풀어도 은행에서 대출을 축소하기 때문에 M2 통화량의 증가는 크게 늘지 않은 이유이다.

5. 미국 경기가 회복되면 M2 통화량이 증가할까? 감소할까?

M2의 통화량은 은행의 신용창조(대출)와 통화의 유통속도에 의하여 결정된다가 했다. 통화의 유통속도는 지급준비율과 금리 등으로 중앙은행이 조절한다.

미국은 통화량이 늘어나면서 인플레가 발생하고 금리를 급격히 올려서 통화량을 흡수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M1,M2 통화량이 감소하고 있습니다.

만약에 통화 유통속도가 증가한다면 어떻게 될까요?

4번에서 통화유통속도가 1.4에서 1.1로 하락했고, 예전의 1.4 수준으로 회복된다면, 코로나 팬데믹 기간 동안 미국의 M1이 4배가 풀렸으니 M2 증가율도 올라가지 않을까요?

즉, 금리를 올려서 대출비용을 증가시켜 신용창조를 억제하고 있지만 경기가 회복되여 대출비용보다 대출로 인하여 발생한 수익이 커진다면 대출이 늘어나고 M2도 같이 늘어나지 않을까요?

6. 미국의 양적 완화이후 돈의 흐름

미국은 코로나 팬데믹 기간 동안 급격한 경기침체를 우려하여 무제한적 양적완화를 실시하였습니다. 그에 따라서 M1 통화량은 4배나 늘어났습니다.

가. FED는 미국 국채를 매입하는 방식으로 신규 통화를 창조하여 시중에 풉니다.

나. 미국 재무부는 국채를 발생하여 현금을 확보합니다. 결국 FED가 발행한 신규 현금이 재무부로 흘러갑니다.

다. 미국 재무부는 경기회복을 위해서 개인들에게 보조금을 지급하고 개인들은 은행에 바로 인출 할 수 있도록 예치를 합니다. <M1 통화량 증가> 하지만 은행은 경기가 불확실하니 돈을 빌려주면 못 받을까봐 대출 축소를 합니다. < M2 통화량 증가 속도 감소>

라. 개인들이 보조금을 소비하면서 미국 경제가 살아나고 고용이 증가하고 실업률이 감소합니다.

마. 경기가 살아나면서 은행이 대출 상환 리스크가 감소하면서 대출이 증가합니다. M2가 증가하게 됩니다.

7. 자산 가격이 오를 것 같다.

앞서 M1 통화량이 증가한 만큼 M2 통화량이 증가하지 않았다고 설명했고, 그 이유는 경기 불확실성으로 일반은행의 신용창조(대출)이 증가하지 않았다고 했다.

만약, 경기가 회복한다면 통화유통속도가 예전처럼 회복한다면 M2 통화량이 크게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

z1

20241010_industry_726749000.pdf
4.47MB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