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욕구
- 욕구의 만족이 곧 행복이고, 행복이 곧 인생의 목적이다.
- 생존의 측면에서도 욕구는 생존의 생물학적, 정신적 표현이다. 욕구를 충족하지 않으면 신체적으로 죽거나 정신적으로 죽는다.
- 대부분의 인간은 이기적 욕구 충족을 목적으로 삼지만, 어떠한 성인들은 이타적 욕구 충족을 목적으로 삼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이타적 욕구 충족도 결국 이기적 욕구를 충족하기 위한 수단이다.
- 욕구는 무조건적으로 많다고 좋은 것이 아니다. 욕구의 과잉은 쓸데없는 에너지만 낭비한다. 아무리 좋은 차나 집도 갖고나면 금새 질리는 것 처럼, 욕구는 적절한 결핍과 만족이 반복되어야 의미있는 욕구이다.
- 돈은 성취의 욕구 의외의 모든 욕구를 채워줄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편한 도구이다.
- 욕구충족이 자신의 역량과 올바를 기회를 통해서 성취되는 것이 아니면 진정한 욕구로써 스스로 인정되지 못한다. 이는 자존감과 관련된다. 역량이 올바르지 못하거나 기회가 올바르지 못하면 자존감이 낮아진다. 자신이 할 수 있다는 성취감과 자신이 자격이 있다는 자격감이 박탈되기 때문이다.
사건
- 사건은 역량이 욕구를 실현 시키기 위한 기회를 제공한다. 자신의 역량을 활용해 사건을 해결함으로써 욕구가 충족되기 때문이다.
- 사건(기회)이 없다면, 아무리 뛰어난 역량이거나 높은 욕구도 무용지물이다. 역량과 욕구가 뛰어나지만 적절한 기회를 만나지 못하는 사람만큼 큰 비극을 맞이하는 인간은 없다.
- 기회는 좋은 환경에서 온다. 좋은 환경의 중요한 변수는 사람이다. 인생을 살다보면 대부분의 기회는 다른 타인이 제공해주는 경우가 많다.
- 나에게 기회를 주는 사람은 나보다 경제적이든, 사회적 위치든, 나이든 손위 사람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렇다면, 나보다 대단한 사람에게 기회를 얻기 위해서는 어떠한 것이 필요할까?
- 성실함, 겸손함, 적을 만들지 않을 만큼의 적당한 배려심
- 기회는 좋은 환경을 능동적으로 만듦으로써 오기도하지만, 대부분 수동적인 운運을 통해서 주어진다. 때문에 세상에 좋은 일을 하고 겸손하게 살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역량
- [신체와 정신] 신체의 정신은 상호작용한다. 철학적인 비유가 아니라 실제 과학적으로 그러하다. 육체적 활동은 의지를 다지게 한다. 건강한 오장육부는 스트레스를 감소시켜 안정적인 감정을 유지시켜 준다. 아프지 않은 몸은 정신이 한곳에 집중할 수 있도록 이성을 극대화 시켜준다.
- 안정적인 감정, 성장하는 이성, 두려워하지 않는 의지
- [의지] 감정과 이성만으로 역량이 완성되지 않는다. 무언가 하려는 의지가 없다면 감정과 이성은 허울 좋은 장식품일 뿐이다. 폭발적인 의지가 감정과 이성을 이끌때만이 욕구를 실천할 수 있는 역량이 완성된다.
- [의지] 의지는 순차적인 성취를 통해서 단련되고 성장할 수 있다. 어린 아이가 한 발을 내딛는 것에서 자신감을 얻어 걸음마로 이어지고 뜀박질로 이어지는 것처럼 단계적인 의지 성취가 중요하다.
- [감정] 감정의 두축: 흥분도, 긍부정을 기억하라
- [이성] 긍정적으로 살기
'지혜 > 가치관제작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위 MZ세대의 소비 성향 분석 (0) | 2022.12.13 |
---|---|
사람은 왜 사는가? (0) | 2022.12.07 |
인스타그램과 현실공간에서의 과시소비 행동비교 연구: 과시소비의 원인 분석 (0) | 2021.07.01 |
명품에 대한 사회학적 해석 (0) | 2021.07.01 |
인과관계란, 인과관계의 타당성 검증, 인과관계의 3가지 시점(구조화, 심화, 세분화), 상관관계란, 인과관계적 사고 (0) | 2020.08.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