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가치와 주식가치는 같다? 아니다!

경제관련 기사를 보면 가끔 이런 종류의 기사를 접하게 됩니다. 이런 기사를 보고 사람들은 흔히 해당 기업의 가치가 250억원이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정확히 말하자면 해당 기업의 주식가치가 250억원인 것이죠.
 
이렇듯 ‘기업가치’와 ‘주식가치’가 종종 혼재되어 쓰이고 있지만 엄밀히 말하면 좀 다릅니다.
 
그 차이는 집을 사는 경우와 비교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당신이 사고자 하는 집의 가격이 6억인데 해당 집에는 은행에 주택담보대출로 2억이 있다고 해보죠. 그럼 집값은 6억인데 당신이 집주인에게는 4억만 지불하면 됩니다. 나머지 2억은 은행에 갚든지 아니면 그냥 대출금을 그대로 유지하면 되는 것이죠.
 
이때 집값 6억이 기업가치와 같고, 집주인에게 지불하면 되는 4억이 주식가치, 2억이 순부채와 같은 것이라 이해하면 됩니다.
 
그럼 좀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주식가치기업가치(총가치) = 주식가치 + 순부채

흔히 말하는 ‘기업가치’는 EV라고 표현합니다. 이는 Enterprise Value를 의미하죠. 반면, ‘주식가치’는 Equity Value라고 합니다. 주당가격에다 발행주식의 총수를 곱해서 계산합니다.

주식가치(Equity Value) = 주당가격 × 발행주식 총수

 
따라서 만약 A사의 기업가치가 900억이고, 발행주식의 총수가 10,000,000주라고 할 때, 이 정보만으로 A사의 주식가치나 주당가격을 알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기업가치(EV)는 주식가치가 아닙니다. 기업가치(EV)에다 순부채(Net Debt)를 차감해줘야 주식가치(Equity Value)가 나옵니다.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총가치가 어떻게 구성되는지를 먼저 이해하는 편이 좋습니다. 재무상태표의 자산=부채+자본과 동일한 원리인데, 당연히 어느 회사의 가치는 그 회사가 스스로 가지고 있는 가치뿐만 아니라, 그 회사가 외부에서 빌려온 부채도 합한 것이 되어야 합니다.

EV = 자기자본의 시장가치 + 타인자본의 시장가치

    = MV(자기자본의 시장가치, 시가총액) + 타인자본의 시장가치(다른데서 빌린 유이자부채(갚아야 할 돈) - 잉여자산)

    = MV(시가총액) +  Net Debt(유이자부채 - 잉여자산)

 
여기서 ‘순부채’란 이자를 부담하는 차입금(IBD)에서 ‘현금자산’을 뺀 금액을 말하죠. 해당 기업이 지고 있는 빚의 총액에서 이를 당장 갚을 수 있는 현금을 빼면 순수한 부채가 계산되기 때문이죠.

기업가치(EV) = 주식가치(Equity Value) + 순부채(Net Debt)
기업가치(EV) - 순부채(Net Debt) = 주식가치(Equity Value)
순부채(Net Debt) = 이자부담차입금(IBD, Interest Bearing Debt) – 현금자산

 
위의 예를 다시 들자면, A사의 기업가치가 900억이고 발행주식의 총수가 10,000,000주라고 할 때 여기다 순부채가 200억이라는 정보가 더 있어야 주식가치가 700억이란 것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주식가치 700억을 발행주식 총수 10,000,000주로 나누면 비로소 A사 주식의 주당가격 7,000원이 계산되는 것입니다.  

주식가치(700억) = 기업가치(900억) - 순부채(200억)
주당가격(7,000원) = 주식가치(700억) ÷ 발행주식 총수(10,000,000주)

참고로 업계에서는 회사의 ‘기업가치’인 EV가 Equity Value와 이니셜이 같기 때문에 헷갈리지 않기 위해 EV를 ‘FV(Firm Value)’라고 표시하기도 합니다.
 
또한 회사의 ‘주식가치’를 ‘Equity Value’ 이외에도, 상장기업의 경우에는 ‘시가총액’이라고 하기도 하며, 비상장기업의 경우 ‘마켓캡(Market Cap.)’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출처

주식 수익 실현을 위한 변수 분석

주식수익 = 주가차액 + 배당금
= (미래예상주가 - 구매주가) + 배당금

미래예상주가 = 구매주가 * 국외환경계수 * 국내환경계수 * 타겟산업모멘텀계수 * (미래)타겟기업펀더멘탈계수 * 타겟기업모멘텀계수 * 기대심리계수

배당금 = 타겟기업실적 * 배당율

위의 소스들을 통해 아래의 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들을 하나하나 체크할 수 있다.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곳

  • dart
  • 네이버금융
  • 각 기업이 발표하는 사업보고서
  • 에널리스트 보고서
  • 검색

구매주가가 낮을수록

  • 주가정보
    • 타겟기업이 속한 산업 PER
    • 타겟기업의 과거 3~4년 치 PER
    • 수요가 낮을 수록
      • 외인, 기관의 구매가 낮을 수록, 판매가 높을 수록(5%이상 지분 취득시 기관의 장기투자 가능성高)
      • 공포에 사고, 소문에 팔아라
    • 최대주주 지분이 40% 이상

국외환경계수가 높을수록

  • Political: 정부정책, 외교관계
  • Economical: 금리, 유가, 환율
  • Social: 인구
  • Technological

국내환경계수가 높을수록

  • Political: 정부정책, 외교관계
  • Economical: 금리, 유가, 환율, 상위기업 시가총액/PER, 경제성장율GDP
  • Social: 인구
  • Technological

타겟산업모멘텀계수가 높을수록

  • 미래에 성장가능성이 있는지?
    • 업계 평균 성장률
    • 업계 평균 이익률
  • 국내외환경계수와 대체/보완시장과의 관계성을 통해서 예측가능

(미래)타겟기업펀더멘탈계수/ 타겟기업모멘텀계수가 높을수록

  • 현재 주가는 기업의 현재 펀더멘탈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미래의 예상펀더멘탈을 반영하므로, 한 시점 앞서서 미래의 펀던멘탈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고려해야함

  • Market

    • 규모, 쉐어, 성장율, 이익률
    • 경쟁요인
    • 진입장벽
  • Alternative Market

  • Competitor

    • 매출, 코스트, 성장률, 쉐어
    • 차별성
    • 고객관계
    • 공급관계
  • Company

    • 재무상태표

      • 엑셀로 옮겨서, 각 항목의 변화율 체크
      • ※주의사항
        1. 엑셀로 옮겨서, 기간간 각 항목의 변화율 체크
        2. 한 계정이 차지하는 비율 체크
    • 손익계산서(매출=사업체수_volume_price, 코스트분석): Client를 통한 매출변동요인 분석

      • 【매출】(해외/국내)매출 = 국외매출 + 국내매출

      • 【매출】(사업체별)매출 = 사업1매출 + 사업2매출 + 사업3매출

      • 【매출】각 사업의 매출 = volume \* price

      • 【매출】volume = min(supply, demand)

      • 【매출】volume의 사칙연산 구조화 = 전체인구(전체기업) * 선택률 * 1인당 이용횟수 or 가동시간 * 가동율 * 회전율

      • 【매출】volume의 축구조화( age sex time area sku channel EL E/N busi natl I/C )

      • 【비용】cost = 원가 + 판관비 + 영업외비용 + 세금

      • 【비용】원가 = volume \* price

      • ※주의사항

        1. 엑셀로 옮겨서, 기간간 각 항목의 변화율 체크
        2. 한 계정이 차지하는 비율 체크
    • 현금흐름표

    • 성장율, 쉐어

    • 벨류체인

    • 비즈니스모델

    • 7S(Structure, Strategy, System, Shared value, Skill, Style, Staff)

  • Client

    • 전방산업 라인 파악(예, 엠씨넥스 - 삼성전자 - 소비자)
    • 세그먼트화: age sex time area sku channel EL E/N busi natl I/C
    • 상품/서비스 자체의 차별화
    • 유통채널
    • 가격전략(개인/법인)
    • 성장전략(CLMMT)
    • UX
    • 기업이미지, 충성도
    • 차별적 가치창조
    • 고객 구매력
  • Supplier

    • 가격전략
    • 서프라이 채인 엑세스
    • 교섭력

【매출】

기대심리계수가 높을수록







WICS 대분류WICS 중분류WICS 소분류
10에너지1010에너지101010에너지장비및서비스
101020석유와가스
15소재1510소재151010화학
151030포장재
151040비철금속
151050철강
151060종이와목재
20산업재2010자본재201010우주항공과국방
201020건축제품
201025건축자재
201030건설
201035가구
201040전기장비
201050복합기업
201060기계
201065조선
201070무역회사와판매업체
2020상업서비스와공급품202010상업서비스와공급품
2030운송203010항공화물운송과물류
203020항공사
203030해운사
203040도로와철도운송
203050운송인프라
25경기관련소비재2510자동차와부품251010자동차부품
251020자동차
2520내구소비재와의류252040가정용기기와용품
252050레저용장비와제품
252060섬유,의류,신발,호화품
252065화장품
252070문구류
2530호텔,레스토랑,레저 등253010호텔,레스토랑,레저
253020다각화된소비자서비스
2550소매(유통)255010판매업체
255020인터넷과카탈로그소매
255030백화점과일반상점
255040전문소매
2560교육서비스256010교육서비스
30필수소비재3010식품과기본식료품소매301010식품과기본식료품소매
3020식품,음료,담배302010음료
302020식품
302030담배
3030가정용품과개인용품303010가정용품
35건강관리3510건강관리장비와서비스351010건강관리장비와용품
351020건강관리업체및서비스
351030건강관리기술
3520제약과생물공학352010생물공학
352020제약
352030생명과학도구및서비스
40금융4010은행401010은행
4020증권402010증권
4030다각화된금융403020창업투자
403030카드
403040기타금융
4040보험404010손해보험
404020생명보험
4050부동산405020부동산
45IT4510소프트웨어와서비스451020IT서비스
451030소프트웨어
4520기술하드웨어와장비452010통신장비
452015핸드셋
452020컴퓨터와주변기기
452030전자장비와기기
452040사무용전자제품
4530반도체와반도체장비453010반도체와반도체장비
4535전자와 전기제품453510전자제품
453520전기제품
4540디스플레이454010디스플레이 패널
454020디스플레이 장비 및 부품
50커뮤니케이션서비스5010전기통신서비스501010다각화된통신서비스
501020무선통신서비스
5020미디어와엔터테인먼트502010광고
502020방송과엔터테인먼트
502030출판
502040게임엔터테인먼트
502050양방향미디어와서비스
55유틸리티5510유틸리티551010전기유틸리티
551020가스유틸리티
551030복합유틸리티
551040수도유틸리티
551050독립전력생산및에너지거래


상품별

현물, 주식, 코인, 현금, 외환 등

업계별

제조, 제약, IT, 의류, 통신, 교통, 인프라, 소매, 도매, 물류

회사별

가격별

https://www.youtube.com/watch?v=ylDmDk0j5Mk


ROE = 당기순이익/자기자본
ROA = 당기순이익/총자산 = 당기순이익/자기자본 + 부채

자기자본 = 자본금 + 자본잉여금 + 이익잉여금 + 자본조정

자본금 = 초기 액면가 * 발행주식수
자본잉여금  = 실제 주식을 발행해 회사로 유입된 주식대금 중 순수 자본금을 제외한 프리미엄액
   - 예를 들어, 액면가 5000원에 주식을 발행했지만 프리미엄을 5000원 얹어 만원에 주주를 모집했다면 액면가 5000원은
   자본금, 나머지 5000원은 자본잉여금으로 쌓인다.
이익잉여금 = 당기순이익에서 배당을 제외하고 순수하게 쌓이는 유보금

ROE, ROA의 수치는 조작되거나 왜곡될 수 있기 때문에, 수치 자체에 의미를 두기보다
그 수치를 통해 수치가 형성된 기업의 배경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위의 ROE메시 구조화는 어떤 배경으로 ROE가 증가/감소 하였는지 파악할 수 있게 해준다.

'Finance Investment > Investment_post' 카테고리의 다른 글

WSCI 업종분류표(Wise Sector Classification)  (0) 2020.10.19
분산투자의 축  (0) 2020.06.30
EBITDA, EV/EBITDA  (0) 2020.06.28
YoY, QoQ, YTD, %와 %p(point)  (0) 2020.06.12
자본, 이익, 가격의 관계(ROE, PER, PBR)  (0) 2020.06.11

 

 

            매출
(-)         반품,할인
-----------------------
           순매출
(-)        매상원가
              노무비
              원재료비
              간접경비
              운송비
-----------------------
           매출순이익(粗利)
(-)        판관비(보험비, 성과급, 마케팅비, 수도광열비, 교통비 등)-> EBITDA
(-)        감가상각비-> 캐쉬플로우에는 영향이 없지만 회계상 빠지는 돈 
-----------------------
           영업이익-> EBIT
(-)        지불금리수수료(+영업외수익-영업외비용)
-----------------------
           세전이익
(-)        법인세
-----------------------
           당기순이익

 

시장가치 EV는 기업의 시가총액과 순부채을 더해서 산출합니다.
시가총액이라는 것은 기업의 주식 총 가치를 뜻하며, 총 발행 주식 수에 주가를 곱한 가격으로 산출됩니다.
만약, 기업이 우선주를 발행했다면, 시가총액에 우선주에 대한 부분을 추가하게 됩니다.

시가총액과 순부채을 더함으로써 기업의 시장 가치를 판단하는 이유는 기업을 누군가가 
매수할 때는 기업의 시장 가치와 더불어 해당 기업이 차입한 모든 부채까지 모두 매입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분기 실적이 발표되면, 증권사 리포트가 쏟아집니다.
그리고 이런 리서치 자료에 자주 등장하는 약어들이 있습니다.
YoY, QoQ, YTD, %p입니다.
가끔 헷갈리는 경우가 있어 짚어 보고 갑니다.

 

YoY와 QoQ

YoY는 Year on Year의 약어인데, 전년 동기 대비 증감율입니다.
작년의 같은 기간과 올해의 같은 기간을 비교한다는 의미입니다.
여기에서 같은 기간이라고 하면 월도 될 수 있고, 분기도 될 수 있고, 특정 기간도 될 수 있습니다.
맥락으로 이해하셔야 하는데, 3분기 실적 리뷰에 사용되었다면 작년 3분기와 비교하는 것이라고 이해하면 됩니다.

QoQ는 Quarter on Quarter의 약어인데, 직전 분기 대비 증감율입니다.
지금이 3분기라면 2분기의 실적과 비교하는 것입니다.
참고로, MoM은 Month on Month로 전월 대비 증감율입니다.

YTD

Year To Date의 약어인데, 연초 누계, 연초 누계 대비 증감율 혹은 연초 대비 증감율입니다.

우리나라 말로 해도 바로 와닿지 않는데요. 맥락에 따라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YTD의 첫번째 사용예는 단순히 올해 초부터 현재까지 누적값을 나타낼 때 YTD를 쓰는 경우입니다.
현재가 5월말이고 실적이 아래와 같다면,

 

 

  • 1월 100
  • 2월 100
  • 3월 100
  • 4월 100
  • 5월 110
    YTD는 5월말까지의 누적으로 510이 됩니다.

YTD의 두번째 사용예는 "올해 현재까지의 누적값"과 "올해 현재 날짜와 같은 전년 날짜까지의 누적값"을 비교할 때 입니다.
무역통계나 경영 실적 비교 등에서 자주 나옵니다.
그림으로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YTD의 두번째 사용예. 누적값의 비교

연초부터 현재까지 누적값을 작년의 같은 기간과 비교한 증감율을 의미할 때도 YTD가 사용됩니다.

YTD의 세번째 사용예는 올해 첫날부터 현재까지의 수익률입니다.
펀드 수익률이나 주가의 상승율을 표시할 때 사용되는 경우입니다.
이것 역시 그림으로 보면 쉽습니다.

 

YTD의 세번째 사용예. 연초부터 현재까지의 수익률

여기에서 YTD는 2019년 시작(2018년 종가)부터 계산한 수익률입니다.

%와 %p(point)

아시는 것처럼 %는 증감율 혹은 비율을 표시할 때 사용합니다.
%p(point)는 단위가 %인 비율의 증감을 의미합니다. 참고로 p는 대문자 P로 쓰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설명하는 것이 쉽습니다.
영업이익율은 영업이익을 매출로 나눈 비율입니다. 숫자 뒤에 %가 붙지 않아도 %인 것으로 다들 이해합니다.
1분기의 매출이 200억, 영업이익이 25억이면 1분기의 영업이익율은 12.5%입니다.
2분기의 매출이 250억, 영업이익이 30억이면 2분기의 영업이익율은 12.0%입니다.

 

 

영업이익은 1분기 25억에서 2분기 30억으로 증가해서 20%증가했습니다.
하지만 영업이익율은 1분기 12.5%에서 2분기 12%로 -0.5%P(point) 악화되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wiNJwdESxRs

PER
= 전체주가 / 순이익
= 주가*주식수 / 순이익
= 주가 / (순이익/주식수) 
= 주가 / EPS 


- 전체주가 / 순이익이 가장 직관적이다. 주가 / EPS 식은 본 식에서 파생된 식이다.
- 주가 / (순이익/주식수) 에서 보통 증자나 감자를 하지 않는 이상 주식수는 고정된 상수라고 생각하면,
주가 / 순이익을 고려하는 식이 PER이다
- PER이 높다 : 주가가 높다 or 순이익이 낮다 
   ➡실제 순이익보다 고평가 되어 있을 가능성이 크다.
- PER이 낮다 : 주가가 낮다 or 순이익이 높다 
   ➡실제 순이익보다 저평가 되어 있을 가능성이 크다.

PER
= 주가 / (순이익/주식수)

- 이때 주식수는 증자나 감자가 행해지지 않는 이상, 고정된 상수로 생각하고 주가와 순이익에 집중
- 주가는 매일 변동하는 반면, 순이익은 분기에 한번 발표되므로 3개월동안은 고정상수나 다름없음
- 따라서 오로지 주가만이 PER에 영향을 미치게 됨

 

PER
= 주가 / (순이익/주식수)

- 업계별로 PER의 기준이 다름
- 주식수는 증자,감자가 진행되지 않는 이상 고정, 순이익은 분기에 한번 발표나므로 분기간 고정
- 따라서, PER은 주가에 큰 영향을 받는데, 주가란 회사의 성장에 대한 균형가격(수요와 공급의 균형점)이므로 
높은 성장성이 기대되는 업계의 주가가 높게 형성됨
- 철강, 전력 등 인프라 업계는 업계 전체에서 더 이상의 높은 성장성이 기대되지 않으므로 낮은 PBR
- IT, 제약 업계는 높은 성장성이 기대되므로 주가가 높아 높은 PBR 

'Finance Investment > Investment_post' 카테고리의 다른 글

WSCI 업종분류표(Wise Sector Classification)  (0) 2020.10.19
분산투자의 축  (0) 2020.06.30
ROE, ROA, ROE왜곡, ROE구조화  (0) 2020.06.29
EBITDA, EV/EBITDA  (0) 2020.06.28
YoY, QoQ, YTD, %와 %p(point)  (0) 2020.06.1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