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CPI PCE

이러한 차이로 CPI 는 품목별 가중치가 일정기간 동안 고정되는 반면 PCE 물가는 소비지출 변동을 반영해 가중치가 분기마다 수정된다. 이로 인해 PCE물가가 CPI보다 가격 변화에 따른 대체효과와 산업 및 소비구조의 변화를 잘 반영하며, CPI 는 PCE 에 비해 물가상승률을 과대평가하게 된다(도표 2). 美 연준은 PCE 물가가 경제전반의 물가수준을 보다 잘 나타낸다고 판단해 통화정책의 참고자료로 CPI 가 아닌 PCE 물가를 활용하고 있다

헤드라인 물가란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소비자물가를 헤드라인 물가라고 이야기한다. 그러나 물가지수에는 헤드라인 물가 외에도 근원(핵심)물가라는 것이 존재한다. 근원물가는 물가지수 품목 중 변동성이 높은 에너지, 식품 등의 항목을 제외하고 물가지수를 산출하는 것이다. 따라서 헤드라인 물가지수보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더 잘 나타낸다(도표 3). 이러한 이유로 美 연준은 헤드라인 PCE 물가보다 근원PCE 물가에 더 주목한다

인플레이션의 결과

  • 가계의 입장에서 물가상승률이 급격히 상승할 경우 구매력 약화, 실질임금의 하락 등으로 생활 수준에 영향을 미칠수 있다.
  • 비용 상승을 제품 가격에 전가할 수 있는 기업들은 인플레이션이 높아져도 견딜 수 있다. 반면 그렇지 않은 기업들은 수익성이 악화된다.
  • 인플레이션은 금융시장에도 영향을 미친다. 투자자들이 예상하는 미래의 인플레이션이 상승하면이는 금리 상승으로 연결된다.
  • 무엇보다 인플레이션은 중앙은행의 통화정책에 있어 가장 중요한 변수이다. 대부분 중앙은행들의 최우선 정책목표가 물가안정이기 때문이다. 특히 물가상승률이 급격히 하락하거나 상승하는 국면에서는 통화정책의 변화가 이뤄질 수 있기 때문에 물가지표에 대한 금융시장의 민감도가 매우 높아진다(도표7).

인플레이션의 원인

반대로 소비자물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무엇일까? 답은 역시나 유가이다. 역사적으로 미국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유가 상승률과 매우 높은 연관성을 나타냈으며, 이는 한국도 마찬가지였다

디플레이션 = 재화가치의 하락 = 재화가치  
= balance(n시점에서의 재화의 가격, 화폐의 가치)

1. n시점에서의 재화의 가격
= balance((재화의 수요), (재화의 공급))
= balance((재화의 수요), (재화의 국내공급+재화의 해외공급))
= balance((소비자수*1인당 평균소득*소비계수), ((국내기업수*기업당캐파*가동율)+(해외기업수*기업당캐파*가동율)*수출률))
= balance((소비자수*(근로소득+그외소득)*소비계수), ((국내기업수*기업당캐파*(가동율=f(원료수급, 노동력, 설비, 운송율)))+(해외기업수*기업당캐파*가동율=f(원료수급, 노동력, 설비, 운송율)))*수출률))
= balance((소비자수*((고용율*평균임금)+그외소득)*소비계수), ((국내기업수*기업당캐파*(가동율=f(원료수급, 노동력, 설비, 운송율)))+(해외기업수*기업당캐파*가동율=f(원료수급, 노동력, 설비, 운송율)))*수출률))

※ 고용율의 구조화
・노동공급 = 전체인구 * 노동가능인구비율 * 노동희망율
   -> 노동 가능인구를 산업섹터별로 구분가능
・노동수요 = 산업장수 * 산업장당 평균 풀캐파 노동자수  * 가동율(f(전방시장경기, 원재료수급, 생산시설, 운송율))
   -> 산업장을 산업섹터별, 기업규모별로 구분가능


2. 화폐의 가치
= balance((화폐의 수요), (화폐의 공급))
= balance(민간+기업+정부+해외부문+예금은행+중앙은행), (정부+해외부문+예금은행+중앙은행)
= balance(
   (
      민간수요 -> 소비자수*1인당 평균소득*보유율
      기업수요 -> 기업의수*1인당 평균소득*보유율
      정부 -> 재정지출
      해외부분 -> 외화순유출
      예금은행 -> 지급준비율
      중앙은행 -> 재할인율, 국공채매입
   ), 
   (
      정부 -> 재정공급
      해외부분 -> 외화순유입
      예금은행 -> 지급준비율
      중앙은행 -> 재할인율, 국공채매입
   )
)

새 창에서 열기

요약

  • 중국 정부 속내: 둔화되는 소비(수요)를 공동부유를 통한 소비층 확대(호구제도 개선)로 해결하겠다
  • 농민공: 의료제도, 고용제도 등 정부 지원의 사각지대 -> 농민공 신분에 대한 정부 정책의 변화가 생긴다면 소득과 가처분소득 증가가 발생할 가능성 높음
  • 한국의 사례로 봤을 때 가처분소득이 증가하면, 교육과 의료 그리고 주거에 대한 소비가 증가

요약

  • 공동부유 정책에 맞추어 불평등의 가장 큰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던 부동산 시장의 규제 확대
  • 헝다 그룹에 타인자본을 빌려준 은행들은 컨트롤 가능한 상황이므로 부동산발> 금융발> 경제전체 위기 로의 확산 가능성은 낮음
  • 주요 메크로지표인 장기금리도 오히려 상승, 역내 회사채 스프레드는 그 폭이 오히려 줄어드는 모습을 보여줌
  • 헝다는 중국 정부의 부채규제 기준에 따라 레드 등급의 기업, 동 시장내 그린 등급인 경쟁사의 주가는 오히려 상승하는 모습 -> 부동산 시장 전체 이슈가 아닌 개별 기업이슈로 디커플링
  • 부동산 가치 하락으로 인한 개인의 가처분 소득 감소 우려

새 창에서 열기

요약

  • 미국 8월 고용 – bad news: 컨센서스 70만명에 비해 실망스러운 23.5만명
    • 원인 분석이 필요한데 고용율을 직종별로 구조화해보면, 도소매업/공공교육/외식 에서 큰 하락세가 보임
    • 이는 델타바이러스에 의한 이동제한이 원인이며 추세적인 하락은 아닐거라는 전망이 우세
  • 미국 8월 고용 – Good news: 실업률 하락, 경제활동 참가율 상승, 구조적 실업의 완화, 계층간의 불균형 완화로 보아 추세적인 노동시장의 질적향상이 보임
  • 글로벌 제조업 동향 좋은 소식
      1. 한국 제조업 호조
      1. 미국 PMI지수 59.5기록
  • 글로벌 제조업 동향: 나쁜 소식
      1. 동남아의 델타변이 확산으로 인한 이동제한 -> 제조 둔화 -> 기업의 가동율 둔화 -> 생산량 하락
      1. 중국의 8월 제조업 PMI 50.1

새 창에서 열기

요약

  • 중국 위안화 약세의 의미: 환율 동조화에 따른 원화의 약세
  • 중국 위안화 약세의 원인
    • 경기 악화에 따른 수출 감수 -> 경상수지 악화에 따른 원화 약세
    • 강한 유가 상승에 의한 경상수지 악화

새 창에서 열기

210825_잭슨홀 미팅을 바라보는 시각, 최근 주가와 불균등 경기회복의 관점에서.pdf
1.1 MB

잭슨홀 미팅을 바라보는 시각:최근 주가와 불균등 경기회복의 관점에서

  • 시장이 지난주 조정의 주요 원인을 FOMC 의사록에 등장한 조기 테이퍼링 언급 때문으로 해석하고 있기 때문
  • 선진국과 신흥국간 증시 차별화에 대한 설명력이 제한적이라고 생각
  • 델타 변이 확산세 속에서 선진국의 부스터샷 접종 현실화는 서비스업 중심으로 신흥국의 경기 회복을 지연시킬 요인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나타난 미국 통화정책 조기 정상화 소식은 펀더멘털이 상대적으로약한 신흥국 증시에 부담을 가중시켰다.

바이러스 확산에도 상승하는 미국 증시, 그 이유는?

  • 모더나, 화이자 백신의 감염 예방률이 2월 91%, 89%에서 7월 76%, 42%로 감소
  • 바이러스가 증시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인 이유는 낮아진 사망률과 충분한 백신때문
  • 낮아진 사망/입원률과 충분한 백신 공급량이 봉쇄의 필요성을 감소

IoT장비의 한계인 베터리문제, 고주파로 해결?

  • IoT 장비들이 존재해 사람들의 삶의 질을 높여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하지만 IoT 장비의 가장 큰 문제는 전력공급 문제다. 수많은 장비들의 배터리를 하나씩 교체하기에는 무리가 있기에 연구진들은 에너지 하베스팅 방법으로 IoT 장비에 전력을 공급하려 한다.
  • 에너지 하베스팅은 생활 속에서 버려지는 에너지를 수집해 전력으로 바꿔 활용하는 기술로 가장 많이 쓰이는 네 가지 원리는 압전효과, 열전효과, 광전효과, 그리고 RF이다. 조지아 공대 연구진은 최근 RF원리를 활용한 에너지 하베스팅을 연구하고 있다.
  • 흔히 우리가 걸을 때마다 발바닥에서 생기는 압력에너지, 자동차나 기차가 움직일 때의 진동과 열 에너지들을 수집해 전기로 바꿔 쓰는 개념이 에너지 하베스팅이다
  • 압전효과는 어떤 물질을 기계적으로 누르면 양전하와 음전하가 나뉘는 ‘유전 분극’을 일으켜 표면의 전하 밀도가 변하면서 전기가 흐르는 개념이고 열전효과는 온도차이가 날 때 전류가 흐르는 현상을 통칭한다. 광전효과는 금속 등이 전자기파를흡수할 때 전자를 내보내는 현상이고 RF는 전파를 이용한 무선 통신을 뜻하며 공기 중의 전자기파를 수집해 전기로 바꾸는 개념이다

새 창에서 열기

요약

금리와 테이퍼링 그리고 환율

    1. 고용율: 고용율은 지금보다 나아질 것. 9월 이전소득이 마무리 됨에 따라, 고용율이 상승할 것. 이에 대한 근거로 구인건수가 하락하고 있음. 이는 고용의 풀이 점점 채워져 가고 있음을 의미함.
    1. 인플레이션: 수요 측은 고용률이 증가한다고 하더라도 고용율이 낮았을 때는 이전소득을 통한 보상이 있었으므로 크게 증가하기는 어렵다는 판단. 변화가 예상되는건 공급 측인데 가동율 상승에 따른 공급 정상화로 이전보다 낮은 인플레이션을 유지하게 될 것

환율

  • 달러: 델타바이러스 확산으로 인한 공포심리로 달러 수요가 증가, 이는 시간에 따라 해결될 것
  • 위안화: 바이러스 확산, 지급률 인하 등으로 인한 위안화 가치 하락 ➡ 한국 수출 경쟁력↓ ➡ 국제수지 악화(수출<수입) ➡ 자국 외환시장의 달러 공급량 < 달러 수요량 ➡ 환율↑ ➡ 자국 통화↓
  • 자국 사정: 델타바이러스는 곧 잡힐 거라는 가정(?), 외국인의 매도세가 곧 주춤해질 것이라는 가정(?)

새 창에서 열기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