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CPI PCE
이러한 차이로 CPI 는 품목별 가중치가 일정기간 동안 고정되는 반면 PCE 물가는 소비지출 변동을 반영해 가중치가 분기마다 수정된다. 이로 인해 PCE물가가 CPI보다 가격 변화에 따른 대체효과와 산업 및 소비구조의 변화를 잘 반영하며, CPI 는 PCE 에 비해 물가상승률을 과대평가하게 된다(도표 2). 美 연준은 PCE 물가가 경제전반의 물가수준을 보다 잘 나타낸다고 판단해 통화정책의 참고자료로 CPI 가 아닌 PCE 물가를 활용하고 있다
헤드라인 물가란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소비자물가를 헤드라인 물가라고 이야기한다. 그러나 물가지수에는 헤드라인 물가 외에도 근원(핵심)물가라는 것이 존재한다. 근원물가는 물가지수 품목 중 변동성이 높은 에너지, 식품 등의 항목을 제외하고 물가지수를 산출하는 것이다. 따라서 헤드라인 물가지수보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더 잘 나타낸다(도표 3). 이러한 이유로 美 연준은 헤드라인 PCE 물가보다 근원PCE 물가에 더 주목한다
인플레이션의 결과
- 가계의 입장에서 물가상승률이 급격히 상승할 경우 구매력 약화, 실질임금의 하락 등으로 생활 수준에 영향을 미칠수 있다.
- 비용 상승을 제품 가격에 전가할 수 있는 기업들은 인플레이션이 높아져도 견딜 수 있다. 반면 그렇지 않은 기업들은 수익성이 악화된다.
- 인플레이션은 금융시장에도 영향을 미친다. 투자자들이 예상하는 미래의 인플레이션이 상승하면이는 금리 상승으로 연결된다.
- 무엇보다 인플레이션은 중앙은행의 통화정책에 있어 가장 중요한 변수이다. 대부분 중앙은행들의 최우선 정책목표가 물가안정이기 때문이다. 특히 물가상승률이 급격히 하락하거나 상승하는 국면에서는 통화정책의 변화가 이뤄질 수 있기 때문에 물가지표에 대한 금융시장의 민감도가 매우 높아진다(도표7).
인플레이션의 원인
반대로 소비자물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무엇일까? 답은 역시나 유가이다. 역사적으로 미국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유가 상승률과 매우 높은 연관성을 나타냈으며, 이는 한국도 마찬가지였다
디플레이션 = 재화가치의 하락 = 재화가치
= balance(n시점에서의 재화의 가격, 화폐의 가치)
1. n시점에서의 재화의 가격
= balance((재화의 수요), (재화의 공급))
= balance((재화의 수요), (재화의 국내공급+재화의 해외공급))
= balance((소비자수*1인당 평균소득*소비계수), ((국내기업수*기업당캐파*가동율)+(해외기업수*기업당캐파*가동율)*수출률))
= balance((소비자수*(근로소득+그외소득)*소비계수), ((국내기업수*기업당캐파*(가동율=f(원료수급, 노동력, 설비, 운송율)))+(해외기업수*기업당캐파*가동율=f(원료수급, 노동력, 설비, 운송율)))*수출률))
= balance((소비자수*((고용율*평균임금)+그외소득)*소비계수), ((국내기업수*기업당캐파*(가동율=f(원료수급, 노동력, 설비, 운송율)))+(해외기업수*기업당캐파*가동율=f(원료수급, 노동력, 설비, 운송율)))*수출률))
※ 고용율의 구조화
・노동공급 = 전체인구 * 노동가능인구비율 * 노동희망율
-> 노동 가능인구를 산업섹터별로 구분가능
・노동수요 = 산업장수 * 산업장당 평균 풀캐파 노동자수 * 가동율(f(전방시장경기, 원재료수급, 생산시설, 운송율))
-> 산업장을 산업섹터별, 기업규모별로 구분가능
2. 화폐의 가치
= balance((화폐의 수요), (화폐의 공급))
= balance(민간+기업+정부+해외부문+예금은행+중앙은행), (정부+해외부문+예금은행+중앙은행)
= balance(
(
민간수요 -> 소비자수*1인당 평균소득*보유율
기업수요 -> 기업의수*1인당 평균소득*보유율
정부 -> 재정지출
해외부분 -> 외화순유출
예금은행 -> 지급준비율
중앙은행 -> 재할인율, 국공채매입
),
(
정부 -> 재정공급
해외부분 -> 외화순유입
예금은행 -> 지급준비율
중앙은행 -> 재할인율, 국공채매입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