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cpi 中 가장 높은 비중 차지하는 항목은 주거 항목으로 33.48%

Owners'equivalent rent of residences 25.825
Rent of primary residence 7.658
Food away from home1 4.84
New vehicles 4.231
Gasoline(alltypes) 3.438
Motorvehicleinsurance 2.836
Apparel 2.549
Electricity 2.524
Usedcarsandtrucks 2.521
Otherfoodathome 2.343

https://www.bls.gov/news.release/pdf/cpi.pdf

 

Owners'equivalent rent of residences(OER) 는 현재 소유한 주택을 임대 부동산으로 대체하기 위해 지불해야 하는 임대료 금액입니다 . 이 가치는 임대 등가물이라고도 합니다. 즉, OER은 부동산을 소유하는 데 드는 월 비용(예: 모기지, 세금 등)에 해당하는 월 임대료 금액을 계산합니다. (https://www.investopedia.com/terms/o/owners-equivalent-rent.asp)

 

Owners'equivalent rent of residences(OER) 은 쉽게 말해 집사고 은행에 갚아야하는 이자이고, Rent of primary residence (RPR) 는 월세다.

 

https://fred.stlouisfed.org/series/CUSR0000SEHC
https://fred.stlouisfed.org/series/CUUR0000SEHA

쭉 완만하게 성장하다 코로나 시기에 기울기가 높아진 것을 볼 수 있다.

 

집값을 구성하는 요인은 수요와 공급이다. 

먼저 공급사이드. 공급이 부족하다. XXX의 이유이다

 

수요를 구성하는 요인은 주택구매수요와 대출이다. 

주택구매수요는 XXX 이유로 높다..

 

대출수요는 낮다. 왜냐면 일반적으로 30년 모기지대출 받아 구매하는데 현재 6.76%로 특히 고정금리로 대출을 받는게 일반적인 미국인에게 너무나 손해보는 느낌이다. 코로나때는 3%였는데...

 

https://kr.investing.com/economic-calendar/mba-30-year-mortgage-rate-1042

 

그럼 30년 MBS가 계속 높을까? MBS의 구성요소는 1. 10년 국채금리 2.XXX 3.XXX 이다.

 

10년 국채금리는 쉽게 떨어지지 못할 것이다. 왜냐하면, 국채 공급이 지속해서 등장하기 때문이다. 1. 미국 정부는 코로나 시기 엄청난 확장 재정으로 민간에게 이전소득을 주었고 이중 대부분은 국채를 통해 공급했다. 국채 만기가 도래하면 roll-over해야한다. 또한 올해 대선도 있다. 지속적으로 국채가 공급될 것이다. 국채가 공급되면 가격은 떨어지고 국채금리는 상승한다. 2. 공급요인은 또 있다. 미 연준 보유한 국채다. 미연준또한 코로나 시절 미국채, mbs 등 대부분 자산 보유를 늘이며 돈을 풀었다. 계속 QT 중이므로 국채 공급이 늘어날 여지 존재한다.

 

미국 재정지출 트렌드 https://ko.tradingeconomics.com/united-states/fiscal-expenditure
미국 10년 국채 수익률 https://tradingeconomics.com/united-states/government-bond-yield
Feds 자산 추이 https://fred.stlouisfed.org/series/WALCL

 

정리하면, cpi중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건 주거관련 인데, mbs가 떨어지면 수요 펀더멘털 견고하므로 다시 물가 상승하기 시작할거고, 반대로 mbs가 유지되면 수요 견고하더라도 금리 압박으로 주택 수요 얼어붙어 물가는 하락할 것.

Summary

  • 세수입 부재한 정부의 재정지출 확대로 국채발행 증가하며 장기금리 높게 유지될 것
    • 재정지출 확대 원인: 인구 노령화로 인한 복지 프로그램 지출, 지정학적 위기에 대한 미국 가버넌스 약화로 전쟁 지원금 확대, 탈세계화에 따른 공급망 재편 인센티브 제공 위해 정부 보조금 사용
  • 탈세계화에 따른 공급 감소 우려로 고금리 장기화 전망
  • 모기지 금리 증가로 거주 이전 인센티브 감소하며 노동 효율 감소

Higher Interest Rates Are Here to Stay. What It Means for the Economy.

Even as inflation eases, global changes including less trade and growing government deficits will keep rates higher than before.

As Federal Reserve officials head into their final policy meeting of the year, on Dec. 12-13, both Wall Street and Main Street are fixated on the outlook for interest rates. With inflation falling steadily, how soon—and how aggressively—will the U.S. central bank cut rates in the coming year?

 

 

The better question is where rates will settle in the coming decade. The probable answer: below today’s target range of 5.25%-5.50%, but higher than many economists and policy makers expected a year or two ago, and far higher than the near-zero rates of the past 15 years. The consequences will be profound, though not entirely detrimental, affecting the global economy, investment portfolios, and monetary and fiscal policy for years to come.

 

Expectations for the long-term trajectory of interest rates lie at the heart of a debate over the so-called neutral rate, or the interest rate at which the economy is in equilibrium, with monetary policy neither too tight nor too loose. A growing chorus of economists argues that structural shifts in the economy that were either introduced during or exacerbated by the Covid pandemic are pushing the neutral rate higher than it has been in decades.

Advertisement - Scroll to Continue

 

There are a handful of factors at play: Governments are spending more freely without raising taxes, pushing up deficits. Consumer demand has proved to be remarkably persistent. A slowdown in globalization has led to both a decline in trade volumes and a costly effort to bring supply chains closer to home, making consumer goods more expensive.

 

 

These changes, among others, have led to increased friction in the economy and will make it more prone to bouts of inflation moving forward, economists say, forcing monetary policy to run tighter as a result. Since 2019, Fed officials’ median forecast has put the longer-run federal-funds rate—effectively their estimate of neutral—at 2.5%. That equates to a 0.5% real neutral rate, after subtracting the Fed’s 2% inflation target.

 

 

Now, many economists believe that the federal-funds rate could settle in the mid3% range, or even as high as 4% over the longer term. Adjusted for inflation, that implies an anticipated real neutral rate of 1.5% to 2%—three or four times the level that officials were predicting a few years ago.

 

 

“That is a very different world from the world we left,” says Diane Swonk, chief economist with KPMG.

 


There is a catch. The neutral rate can’t be measured, and can be estimated only in hindsight. Yet gauging its level is paramount for Fed policy makers as they weigh whether and when to cut interest rates, and how best to minimize economic damage while cooling inflation further.

 

If officials assume that the neutral rate is higher than it really is, they risk overtightening monetary policy. If they assume it is lower, as some economists fear the Fed is doing, they risk tightening insufficiently, thereby allowing the economy to reflate within a matter of months. Taming resurgent inflation would require even more painful monetary tightening.

 

 

“Part of the reason why I think many of the projections, including those in the markets, for cutting rates overdo it a bit is because they presume that policy is more contractionary than it already is,” says former Treasury Secretary Larry Summers. “They assume too low a neutral rate.”

 

 

Expect the debate over “neutral” to dominate economic policy discussions in the coming months. But it will take on even greater importance thereafter, as economists and Fed officials attempt to map out what the economy might look like once price growth settles back to the Fed’s 2% annual target, and how it will compare with the pre-Covid era.

To be sure, a higher neutral rate isn’t a foregone conclusion. Opinions vary, and unexpected events, such as another financial crisis or pandemic, could force the Fed and other central banks to push rates much lower.

 

 

But for now, even Fed officials have begun to signal that they believe the neutral rate is rising. In the central bank’s quarterly projections released in March, only four officials wrote that they believed the neutral rate had climbed above 2.5%. By September, seven officials said the same. Officials will publish their latest projections on Dec. 13, at the close of the Federal Open Market Committee meeting.

 

 

The long-run implications of a higher neutral rate are substantial. Money would no longer be as cheap as it was for much of the 2010s. Debt would be more costly, and loans would be more difficult to secure. Start-up businesses would face heightened pressure to turn profits quickly, and fewer would get off the ground.

Advertisement - Scroll to Continue

 

But there would be benefits, too. Savers and retirees would profit from higher-yielding fixed-income investments. Higher rates would encourage more saving and more-efficient capital allocation. And central banks would have room to adjust rates lower in the event of an economic slowdown, which would make for a less volatile economy.

“This, in my mind, is the single best financial market development in the past 20 years,” says Joseph Davis, global chief economist at Vanguard. “And there’s nothing close.”

 

 

It wasn’t so long ago that economists and policy makers were focused on why wage and productivity growth were so sluggish, and whether inflation would ever climb back to the Fed’s annual 2% target growth level. Despite more than a decade of ultralow rates, core personal-consumption expenditures—the Fed’s preferred inflation gauge—topped 2% in only five months from 2010 to 2020.

 

 

The explanation that was growing in popularity before Covid hit was that the neutral rate must be lower than anyone had thought. Slowing productivity and an aging workforce appeared to be weighing down the economy in such a way that monetary policy would need to remain loose for price growth to return to target.

 

 

Ultralow inflation and ultralow interest rates were making for an unusual equilibrium. “It’s hard to get out of that cycle without a major shock,” says Kristin Forbes, an economics professor at the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Then Covid arrived, upending the global economy. While the factors believed to be dragging down the neutral rate pre-Covid haven’t been eliminated, they have now been overshadowed by fresh changes that have left the economy more prone to global shocks and bouts of inflation. 

Advertisement - Scroll to Continue

 

“We went through the proverbial looking glass, into a mirror image of the world we left,” says Swonk.

 

 

Among the most influential changes has been the ballooning of government deficits, and the propensity of many Western governments to spend freely on policy initiatives without ensuring a commensurate increase in tax revenue to offset the costs. In the U.S., debt held by the public ballooned as a share of overall GDP from 79.4% in 2019 to 99.8% in 2020, and it’s projected to increase sharply in the coming decade. Data from th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show that a number of European countries, including Germany and the United Kingdom, have seen similarly steep rises in recent years. 

 

 

This increased deficit spending is due partly to the post-financial-crisis embrace of quantitative easing by central banks, which gave governments a regular buyer for their debt, says Torsten Sløk, chief economist at Apollo Global Management.

The combination of reduced savings and increased spending will stimulate the economy, pushing up the neutral rate over time. And a number of new trends suggest that generous federal spending is poised to continue. Consider governments’ embrace of climate-change mitigation: The continuing green transition will require expensive investments to find alternative sources of energy, while the increased frequency of natural disasters and other weather events will require costly recovery efforts.

 

 

Aging populations, too, require elevated levels of government spending on healthcare and entitlement programs, which will be major contributors to the forecast rise in the U.S. deficit in coming decades, barring political changes. Likewise, rising geopolitical tension has necessitated an increase in military spending in high-income nations. The war in Ukraine pushed total global military expenditure up 3.7% in 2022, and European spending saw its largest year-over-year jump in at least 30 years, according to the Stockholm International Peace Research Institute

 

 

Future totals could edge higher still: In the U.S., the proposed Department of Defense budget for fiscal-year 2024 came in 5% above the level that had been anticipated a year earlier, and the Congressional Budget Office forecasts that the agency’s overall costs will rise10% from 2028 to 2038.

Advertisement - Scroll to Continue

 

Heightened global tension is one result of a trend toward global fragmentation, which has led to a slowdown in worldwide trade and a renewed focus on building supply chains closer to home to minimize risk. Both shifts are likely to stoke inflation and weigh on growth. In a similar vein, an industrial-policy push for more domestic production of technology such as semiconductors has led to an increase in the use of government subsidies to incentivize investment in higher-wage nations.

 

 

In all, annual public expenditure in the U.S. could increase beginning next year by a level equivalent to 2% of gross domestic product, says Adam Posen, president of the Peterson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s. Other Group of Seven nations and China, he adds, are behind the U.S. but on a similar track.

 

 

“This is substantial,” Posen says. “And there is very little prospect in the near term for raising taxes.”

There is no telling yet whether any of these shifts will become permanent. But their impact has already been greater and more persistent than initially expected, a point that European Central Bank President Christine Lagarde made in a speech at the Fed’s Jackson Hole economic policy symposium in August.

 

 

That could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the Fed’s inflation fight, where progress in reducing core inflation from a current annual rate of 3.5% down to 2% could prove slow. More important, it could also affect where price growth and the neutral rate settle in the future.

 

 

Says Summers: “2% is looking more and more like a floor on inflation, rather than an average inflation rate over time.”

 

Even assuming the neutral rate has risen, there is disagreement about what this will mean for the economy and whether it will help or harm business owners, consumers, and investors.

 

One concern is that higher rates could throw sand in the gears of the housing market by exacerbating affordability problems. In the U.S. especially, where many homeowners locked in 30-year mortgages in recent years at rates below 4%, there is an incentive to stay put rather than move, given how much more expensive the next loan would be. As a result, prospective home buyers are facing not only higher mortgage rates but also less housing supply, since fewer existing homes are coming on the market than in the past.

 

 

Advertisement - Scroll to Continue

 

One ripple effect could be a less efficient labor market, says MIT’s Forbes. Mobility has long been a hallmark of the U.S. economy, helping to support wage growth by allowing workers to move to take a more lucrative position. 

“If you’re constrained because you don’t want to sell your house,” Forbes says, that can “take away some of the bargaining power of workers.” 

 

 

The shift to a higher-rate regime over the long term will also tax millions of companies launched in the past 15 years, which have never known anything other than the easy-money policies that have prevailed since early 2009. That could lead to at least a brief increase in bankruptcy filings as the corporate sector adjusts to paying more to borrow money. 

It could become more difficult for firms to get off the ground, too. For much of the past decade, entrepreneurs could borrow capital at little cost, allowing them to keep their doors open for years without turning a profit. “Now, you need to have a business that actually makes money, and makes money sooner, because the discount rate goes up,” Sløk says.

When debt costs more in a higher-rate world, there is less money available for otherwise fruitful investment, a shift that will be felt particularly in the public sector. U.S. interest costs nearly doubled from 2020 to 2023 and are the fastest-growing area of government spending, says the Committee for a Responsible Federal Budget. The U.S. is on track to spend more than $13 trillion on interest costs over the next decade, the committee projects.

Given that growth, the average citizen will get less value from the government, Posen says.

Advertisement - Scroll to Continue

 

“To make it sound very bloodless,” he continues, “there is a robust empirical relationship across countries over time that if you have higher government interest payments as a share of GDP crowding out private-sector and public-sector investment, you have low innovation, a low rate of productivity growth, a low rate of growth overall.”

 

 

That said, the transition away from easy money has benefits, too, even if the positives are more often overlooked.

Although a higher cost of capital means that loans might be harder to come by, the best ideas will still find funding. And better capital allocation means funding will go to innovations, technologies, or projects that are best poised to take off. That could lead to better economic results, says James Bullard, the former president of the St. Louis Fed.

 

 

“I love innovation as much as the next person, but it shouldn’t just be willy-nilly,” says Bullard, now the dean of the business school at Purdue University. “You may have better discipline if you have somewhat higher real rates.”

For investors, the benefits can be even more tangible. Savers will be rewarded as cash compounds, allowing for higher returns. That is particularly beneficial to older Americans, including many retirees, who tend toward more conservative fixed-income investments.

 

 

“You’re seeing a tidal wave of change in how people think about [getting] income into portfolios,” says Rick Rieder, chief investment officer of global fixed income at BlackRock. “You can now build a portfolio to get 6%, 6.5%, 7% yield using quality fixed-income assets.”

 

 

Even those who regard higher rates as a plus for both the economy and investors recognize that there will probably have to be a painful transition period before we settle into the next equilibrium. While the economy has handled the jump from near-zero interest rates to the current level remarkably well, due in part to sustained fiscal spending, signs of a slowdown have emerged recently. Those are likely to become more noticeable in the coming months as the restrictive regime takes hold more fully and so-called zombie firms propped up by stimulus spending and low rates start to collapse.

Then, the benefits will come. 

 

 

Vanguard’s Davis pictures a bell curve when thinking about growth under various interest-rate levels. Exceedingly high rates such as those seen during former Fed Chair Paul Volcker’s era in the 1980s stifle growth. But near-zero rates can promote a sluggish environment, too, he says. While they might stimulate asset prices in the short term, long-term returns fall because there is no base rate to compound. 

Settling somewhere in the middle brings the most benefit, notwithstanding any interim pain. “There is a transition here,” he says. “But I would take that transition any day.”

Write to Megan Cassella at megan.cassella@dowjones.com

SCHD란 뭘까?

찰스앤슈왑이 만든 ets 금융 상품

 

어떤 종목들이 합쳐져 있는지?

23년 11월 30일 기준 총 106개 종목 보유하고 있으며 버라이존 4.48%로 최다 보유

매년 3월 퇴출 및 신규 종목 변경

 

https://www.schwabassetmanagement.com/allholdings/SCHD

SCHD 편입 기준은?

시가총액 5억달러 이상 종목 중에 1. 부채대비 현금흐름 2. 배당률 3. 주당배당금 증가율 4. 자기자본이익률 순위가 높은 주식을 100개 선택하여 시가총액 비율대로 투자하는 방식입니다. 

  • 리츠(부동산 투자) 제외
  • 최소 10년 연속 배당금 지급
  • 시가총액 5억 달러 이상
  • 3개월 평균 거래량 200만 달러 이상

상기 조건 만족하는 주식 중에서

  • 부채 대비 현금흐름
  • 배당률
  • 주당배당금 증가율
  • 자기자본이익률 

각각의 순위를 산술평균해서 상위 100개 기업을 고르게 됩니다.  이렇게 선택된 100개 기업을 시가총액 비중대로 투자를 하되 개별 기업의 비중이 4%가 넘지 않게 조정하고 한 섹터의 비중이 25%를 넘지않게 하죠. 

  •  좀더 자세히 설명드리면, 

 

지금은 SCHD를 사기에 적당한 시기일까?

 

배당은 주당인지? 총 금액당 인지?

schd 1주당 배당금

왜 배당이 늘어난다는 건지?

 

 

해당 종목은 매번 바뀌는지?

매년 3월 리밸런싱 실시

 

찰스앤슈왑이 파산하면 어떻게 되는지?

 

 

미국 단기채는 어떨지?

SWOT

  Quantity Price Cost
Strength - cuda 소프트웨어 시장 장악력 통한 GPU하드웨어 장악
- TSMC 필두로한 GPU 제조에 필요한 35,000개 부품의 제조 SCM 구축
   
Weakness      
Opportunity - 생성형 AI 확장에 따른 전방 산업 파급력 및 신규 시장 확장성 (생성형 AI는 대답 도출하는 로직으로 인간의 판단 조력자였던 기존 AI와 달리 판단 자체 가능한 AI)
- 가속 컴퓨팅 확장에 따른 전방 산업 파급력 (클라우드가 아닌 개별 기업도 비즈니스 로직 고도화 위해 가속컴퓨팅 및 생성형 AI 도입 중)
- DGX Cloud 통한 NVIDIA AI Enterprise 라이센스 판매로 신규 비즈니스 모델 구축 (AI 파운드리)
   
Threaten - HBM기술 적용한 GPU칩 제조 난도 높아 TSMC 와 같은 제한적 제조사의 보틀넥 발생
- 미국 규제에 따른 중국향 매출 감소 예상 (데이터센터 매출 中 ~ 30% 차지)
- AMD, HIP 활용한 CUDA -> AMD 전환 소프트웨어 통해 소프트웨어 약세 극복 노력 중
   

 

주요 고객은 누구인지?

클라우드사・코로케이션AI서비스사제조사 등 88개사 에 납품중

데이터센터 장래 수요는?

미 정부의 중국향 판매 재제 영향은?

미정부의 재제피하기 위한 다운그레이드 버전의 GPU 개발하여 중국 向 판매할 것

주요 고객은 정말 사갈 것 인지?

대형 클라우드 보유 주요 3Tech 업체 Amazon Google Microsoft의 현금 보유량 충분하여 항후 추가적 CAPEX 여지 존재

- 3 Tech 업체의 현금 보유랑은 역대 최고 수준으로 투자 위한 현금 충분한 것으로 파악

마이크로소프트가 Bing규모로 openAI 확대하기 위해서 40억 달러 규모의 추가 투자 필요하며, Google 규모로 확대하려면 800억달러 규모 신규 투자 필요

주요 3Tech 기업의 CAPEX 대비 NVDIA의 이익 out-perform 하며 고객사 다양해지고 구매 경쟁 치열해질 것

https://www.stateof.ai/compute

AI, 결국 돈을 못번다면 허무하게 끝나고 말텐데 정말 돈이 되는 사업이라 영속성이 있는 시장인지?

AI시장의 맏형뻘인 OpenAI, '22 매출 0.28억달러 -> '23 매출 13억달러 로 50배 성장하여, 실제 돈 벌 수 있는 모델이라는 것에 대한 시장 검증

- 단, 적자규모 5.4억달러

수요가 폭발적이라는데 생산은 충분히 뒷받침될 수 있는지?

현재 H100수준 GPU 생산 가능한 공급자는 TSMC 유일하며, 생산발 병목현상으로 인해 충분한 GPU 공급 불가능한 상황

- tsmc의 candidate로 평가받는 삼성전자의 경우 CoWoS 패키징 설계 능력 한참 뒤쳐져

- 기술의 힘, 엔비디아도 tsmc에 고개숙인다

- CoWoS 공정이란

TSMC의 CoWoS 공정 Fab, 반도체 후공정 장비 공급사인 일본 시바우라社의 장비 공급 Delay로 공장 증축 늦어졌으나 24년 2분기 준공될 것

투자대비 돈을 잘버는건 맞는지? ROE와 ROIC 추세

도대체 어디다가 투자하는 거지? 왜투자하는거지?

코카콜라 roe가 40 ~50 % 수준

PER 추세 분석

Valuation 추세

'22 말 ~ '23 초 이익하락하며 멀티플 100 상회하였으나, 현재 큰 폭 이익 상승하며 PER 50 수준으로 역사적으로 높지 않음

이익 추세

[datacenter] '21년 ~ 지속적 매출 증가 추세이며, '24년 4B규모 넘을 것으로 추정

[gaming] 전방 소매시장 소비 감소와 AMD 등 경쟁사에 선방에 따른 gaming gpu매출 하락

- '23년 2분기 XX 이유로 큰 폭으로 이익 하락했으나 XX 이유로 개선 가능성 존재

[신규] 엔디비아, 신규 시장 진출로써 자체 ML학습 위한 클라우드 서비스 사업 소문

- 아마존 및 마이크로소프트의 클라우드 빌리는 형태로 DGX 클라우드 서비스 운용했으나 자체 클라우드 운영하려는 움직임 포착됨

https://seekingalpha.com/news/3975072-inside-nvidia-ai-drives-record-data-center-revenues-while-gaming-recovers
https://www.samsungpop.com/common.do?cmd=down&contentType=application/pdf&inlineYn=Y&saveKey=research.pdf&fileName=3010/2023082412430591K_02_03.pdf

'17 ~ '23 평균 영업이익률 31% 수준이었으나, '23년 2분기부터 영업이익률 50% 상회하며 가격 교섭력 통한 수익률 확대

quarterly profit & profit rate '17 ~ '23
Annually Income sheet '08 ~ '23
Annually Income sheet '08 ~ '23
quarterly income sheet '08 ~ '23

시가 총액 추세

Balance sheet

고객의 KBF는 무엇인지?

주요 경쟁사는 어떤 기업인지?

https://inevitablen.tistory.com/entry/%EC%97%94%EB%B9%84%EB%94%94%EC%95%84Nvidia-%EA%B8%B0%EC%97%85-%EB%B6%84%EC%84%9D

경쟁사의 KSF보다 앞서는 이유는 무엇인지?

데이터 센터의 경우 소프트웨어 컨트롤 통한 GPU 최적화 필요하며, nvidia의 cuda 플랫폼으로의 Locking 효과 강해 진입 장벽으로 작용 중

[참고] 아래 코드는 C를 통해 딥러닝 학습 시 CUDA 플랫폼을 사용하는 실제 예이다. cudaMalloc 등의 함수를 사용하여 cpu데이터를 gpu로 옮기고 memory 최적화하는 등 개발자가 손쉽게 활용 가능하다.

CUDA는 엔비디아에서 제공하는 여러 수치 계산, 신호 처리, 딥러닝 등의 라이브러리를 지원하며, 이를 활용하여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음. 그리고 텐서플로우(TensorFlow)나 파이토치(PyTorch), 카페(Caffe) 등의 딥러닝 프레임워크도 CUDA를 지원하기 때문에 개발자들은 복잡한 알고리즘을 빠르게 개발하고 최적화할 수도 있음. 이 외에도 CUDA 플랫폼은 개발자가 코드를 최적화하고 디버깅하는 데 도움이 되는 도구를 제공하기도 하며, 여러 GPU를 사용할 때 데이터를 공유하고 통신하는 메커니즘 또한 제공.

https://www.youtube.com/watch?v=Un2nR2A0WoA

논문 인용 수에서도 엔비디아 활용한 사례 압도적 우위

https://stateofai.substack.com/p/state-of-ai-report-compute-index-798

AMD, HIP 활용한 CUDA -> AMD 전환 소프트웨어 통해 소프트웨어 약세 극복 노력 중

https://www.youtube.com/watch?v=9kVBJAskUBc

 

[참고] 주요 고객사 리스트

유동원 유안타 자산배분본부장

중국의 부채율 및 부실대출 증가율에 따라 펀더멘털 악화되는 중

  • 중국 가계 부채율 상승 중이며, 부채/가처분소득율은 미국 역전
  • 또한, 부실대출증가율 '13년 500B위안 -> '23년 3,500B위안으로 10년 새 7배 증가

국가 정책 下 부동산 개발 축소하고 중국 장점 지닌 전기차 및 신재생에너지 등 제조업 위주로 투자 증가하는 중

  • 중국 제조업 대출 증가율 '20년3월 15% -> '23년9월 38.2%로 꾸준히 증가 중
  • 반면, 부동산 대출은 지속적으로 감소 중

AI 기술발달에 따른 미국 노동생산성 갈수록 상승하고 있어, 금리 2%로 수렴해 나갈 것

  • 노동생산성에 따른 수요감소와 공급증가 가속화되어 저물가 및 저금리 현상 발생
    • 노동생산성 증가 -> 고용인구 감소 -> 총수요감소 -> 가격하락 -> 저물가유지 -> 저금리
    • 노동생산성 증가 -> 총공급 증가 -> 저물가유지 -> 저금리
  • 과거 인터넷 혁신 시기보다 더 높은 노동생산상 향상율 기록
    • 인터넷혁신 발생한 '92 ~ '00년 노동생산성 CAGR 2.6% 상승
    • AI 기술에 따른 '20 ~ '23년 노동생산성 CAGR 4% 상승

미국, 가계 기업의 펀더멘탈 건전해 24개월 內 경기침체 가능성 낮음

  • 미국 가계순이익 대비 이자비용 historically 건전한 수준
  • 기업의 경우도 순이익 > 이자비용 상태로 건전한 상황

AI 산업은 높은 CAPEX투자 필요해 자금 Financing 비용 낮은 대형주가 중소형주 대비 유리

  • 엔비디아, 마이크론 등 최 선호주

현재 Tech 및 AI 관련 미국주는 이익수준 높아 valuation 높은 수준 아니라는 판단

  • 과거 IT 버블 시 문제가 되었던 건 기업 투자액 대비 순이익 낮아 버블 깨진 것

오건영 신한은행 WM사업부 팀장

시장의 지속적 장래 기대 선반영으로 인해 인플레이션 종말하지 않고 Higher for Longer 기조 유지 될 것

  • 인플레이션의 확실한 종말 위해 고금리 및 강달러 기조 유지하고자 하나 시장의 지속적 장래 기대 선반영으로 인플레가 지지부진하게 유지되고 있는 상황 발생
    • 시장, 긴축유지 -> 경기침체 -> 완화정책실시 의 사이클에 따른 기대 선반영하여 물가 상승 원조
      • 기대감 선반영 시 자산가격 상승해 다시 고물가로 반영되는 구조
  • 이전 분기 까지 금리 인하 sign 보내던 금통위 위원 1명마저 금번 분기 금리 동결 주장

미국의 패권 약화에 따라 국지적 전쟁 증가함에 따라 외부 변동성 확대되고 globally 유동성 증가할 것

  • 국지전에 따른 자금 필요 -> 각 국의 채권 발행 -> 유동성 증가

국내 경기의 경우, 중국 수출 및 반도체 수출 하락으로 경기 침체 전망

  • 중국의 한국 산업구조와의 경쟁 강도 증가, IRA에 따른 對중국 반도체 수출 감소, 중국 內 부동산 경기 악화에 따른 소비감소 -> 중국 수출 감소

박소연 신영증권 리서치 이사

내년 하반기에 대량의 채권 만기 도래하고 총선 예정되어 있어 주식 시장 수급 악화될 가능성

  • 한전채 및 ELS 만기채 대량 도래

인플레의 확실한 종말 보이지 않으므로 인플레방어가 어려운 채권 투자 방어적 접근 필요

 

코로나 시기 대량 축적해두었던 고객사의 재고 소진 시기 + 인플레에 따른 가수요로 '24년 일부 섹터의 주문량 증대 가능성

  • 컴퓨터 및 주변기기 재고 없음, 화학 원료 재고 없음, 자동차 재고 충분

트럼프 당선이 유력하다고 보여지며, 트럼프 당선시 친환경 및 전기차 타격

실물경제요인: 감소

소비: 감소

  • 물가 상승률 3.5%로 여전히 높고 소비자심리지수도 4개월 연속 추락 중
  • gdp 中 소비 차지 비중 '23년 3월 48.35%로 60 ~ 70%이르는 선진국 대비 낮아 중요도 떨어

https://m.yna.co.kr/view/GYH20231128000200044
https://www.ceicdata.com/ko/indicator/korea/private-consumption--of-nominal-gdp

투자: 감소

  • 고금리 기조 유지 전제 시, 사채 통한 자금 조달 문제로 투자 감소할 가능성 높음
  • 한편, 국내 증시 상승 이끌었던 전기차 베터리 관련 생산의 경우 중국發 초과 생산으로 capex 감소할 것
  • 반도체의 경우도 감산 중으로 신규 투자 가능성 적음

수출: 감소

  • '22년 7,314억불 정점 찍은 후, '23년 10월 현재까지 5,193억으로 '21년 수준으로 회귀
  • 국가별 수출 동향은 '21년 중국 25.3%, 미국 14.9% -> '22년 중국 22.8%, 미국 16.1% 로 중국 비중 하락하고 미국 비중 상승하는 추세
  • 중국 수출 비중 중 반도체 비중 가장 높아, 미국 규제에 다른 對중국 반도체 수출 감소 가능성 높음
  • 미국 수출은 자동차가 압도적으로 높으나, 미국 내 소비역량 약화에 따른 수출 감소 가능성 높음

https://www.index.go.kr/unity/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066
https://www.index.go.kr/unity/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066
https://www.index.go.kr/unify/idx-info.do?pop=1&idxCd=5010
https://www.kotra.or.kr/bigdata/visualization/korea#search/CN/ALL/2023/10/exp
https://www.kotra.or.kr/bigdata/visualization/korea#search/US/ALL/2023/10/exp

통화요인

국내 통화 정책 요인: 통화 긴축에 가까운 중립

  • '00년 이후 평균 적인 물가상승률 1.5 ~ 2% 수렴하였으나, '23년 10월 물가상승률 3.8%에 달해 한국 금리의 higher for longer 유지될 것으로 전망
  • 국내 실업률 또한 2.1%로 과거 대비 낮은 수준으로 고금리 유지할 체력 존재한다고 판단
  • 가계부채의 경우 액수는 높으나 연체율 낮아 고금리 유지할 체력 충분
  • 한국은행, QT 실시로 보유 자산액 코로나 이전 수준으로 낮아진 상황으로 비전통적 QT는 슬슬 중단될 예정

https://www.index.go.kr/unify/idx-info.do?idxCd=4226

 

https://www.index.go.kr/unity/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060

 

https://www.index.go.kr/unity/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063

 

https://www.frism.io/hangug-gagyebucae-eoddeon-sanghwanginga/
https://valuefactory.tistory.com/1445
https://valuefactory.tistory.com/1445

 

미국 통화정책 요인: 조금 긴축에 가까운 중립

  • '23년 9월 물가상승률 3.2%로 거의 코로나 이전에 근접한 상황이나 '23년7월처럼 다시 상승할 여지 있어 중립
  • 물가상승률 하락하고 있으며, 실업률・임금상승률 등 요인 고려시에도 물가 소폭 하락할 것
    • 단, 온쇼어링에 따른 일자리 및 임금 증가 또한 ERA에 따른 전기차 친환경 관련 산업 중국 단절 영향으로 일부 섹터 물가 상승 견인 가능
  • FED는 '22년 초부터 QT진행하였으며 현재 20% 수준 완화 물량 회수한 것으로 추정되나, 코로나 이전 수준으로 회복하려면 아직 갈길 멈
    • 최근 FED는 RRP이외의 자산축소 정지한 상황 -> 이대로 돈많이 푼 상태로 놔둘 것인지?

미국물가상승률추이_https://ko.tradingeconomics.com/united-states/inflation-cpi
미국물가상승률추이_ https://ko.tradingeconomics.com/united-states/inflation-cpi

수급요인: 국내 감소, 해외 (증가에 가까운) 중립

  • 국내의 개인이 주식을 살만한 돈이 없다
  • 미국 고금리 기조에 따른 머니무브 발생할 전망이나 이미 외국인 한국 증시 보유 비율 낮은편
  • 현재 강달러 기조(1290원) -> 약달러 기조로 넘어가는 시그널 보일 시 외국인의 국내 증시 투자 비중 상승할

https://www.index.go.kr/unity/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086
https://www.index.go.kr/unity/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086

물가 상승 해소 국면이나 이는 소비 및 투자 영역 경기 악화에 기인

- 지속적인 부채 증가에 따른 소비 감소, 투자 감소는 GDP 감소 요인

 

중국, 부동산 의존 커 부동산 시장 악화에 따라 투자 뿐만 아니라 관련 종사자의 수입 악화로 소비 감소로도 연결

- 부동산 向 투자를 신재생 에너지 및 제조업으로 전환 중이나 성과 미미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