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습의 기본원리는 자신이 무엇을 이해하지 못했는지 구체적으로 인지하고 탐구하여 알게 되게 하는 것: 무지의 지
  • 아래 공부법의 기본 원리는 가볍운 시작으로 전 범위의 루틴을 즐겁게 돌게하여 새로운 지식의 학습에 대한 벽을 허무는 것
  • 아래의 독해법은 전공서적, 시험용 서적 등 시험을 목적으로한 학습이 필요로하는 독해법이다. 보통의 소설, 교양서적은 조건독해법을 따른다.
  • 독해의 기본 디폴트 마인드는 한 번에 이해하겠다는 오만한 자세를 버리는 것이다. 최소 복수번 읽는 것이 당연하다는 겸손한 자세로 독해에 임한다.

연반추 독해법(전공서적, 시험용 서적 등 시험을 목적으로한 학습)

연반추 Soft Review 원리 란 부드럽게 반복해서 읽어나가는 것을 말한다. 학습자료를 스트레스 없이 편하게 복습하는 것으로 반복학습의 효율을 높이는 학습 원리이다.

1단계 : 3회 독파

  • 1회 독파에서는 모르는 단어나, 모르는 내용을 표시하며 편하게 읽어나간다. 1회 독파에서는 전체 내용에서 무엇이 중요한 것인지 제대로 판단할 수 없기 때문에 중요단어 를 판단할 생각을 하지 않는다.  
  • 2-3회 독파에서는 중요단어 를 밑줄 긋기하며 편하게 책을 읽는다.  
  • 책 내용이 이해되지 않아도 그냥 가벼운 마음으로 물 흐르듯 읽는다. (읽다가 이해 되지 않는다고 뒤돌아 가지 않는다)  
  • 위의 방법으로 세 번 읽는다. 가장 중요한 주의 사항 : 이해하려 하지 마라

2단계 : 2회 독파

  • 배경지식이 부족해 이해가 불가능한 개념들을 가볍게 찾아본다. (개념들을 완전히 이해하려고 하지마라. 개념들의 이해를 천천히 완전하게 해나간다)
  • 핵심어중의 핵심어를 표시해나가면 읽는다.
  • 이단계에서 왠만한 교양서적은 정리가 된다.

3단계

  • 연필로 밑줄 그은 글과 표시한 핵심어를 중심으로 5차례 빠르게 속독한다.  
  • 이렇게 책 한권을 10회 독파하는 속도는 기존 공부법 3회 독파 속도보다 빠르다  
  • 재래식 공부법으로 3차례 독파조차 의지력 강한 소수만이 수행할수 있지만 이 학습법으론 쉽게 연반추할 수 있다.

조건 독해법(소설, 교양서적 등의 일상에서 글을 읽을 때 필요로 하는 독해법)

  • 소설, 교양서적은 90%가 읽기 쉬운 부분이라면 10%정도는 한 번에 이해가 되지 않는 정도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 90%의 이해하기 쉬운 부분은 문장 전체를 덩어리로 읽어가며 훑듯이 빨리 읽는다. 예를 들어, '나는 사과를 좋아해' 라는 정도의 이해하기 쉬운 문장이 이어질 때, 그 부분을 한 글자 한 글자 읽어가며 음미할 필요는 없다는 것이다. 오히려 독해력이 감소한다.실제로 지각심리학에서 시각패턴 지각 중 독서능력을 연구하는 과학자들에 따르면, 유능한 독서가와 무능한 독서가는 눈동자 움직임에서도 실제로 차이가 나타난다고 한다. 극단적인 예로, 서구의 실독증(alexia) 환자들은 단어의 개개 알파벳 하나하나를 응시하면서 책을 읽는다. 반면 책을 빠르고 정확하게 읽는 사람들의 눈동자는 더 효율적으로 움직여서, 보다 넓게 자주 도약하면서 한번에 넓게 읽는 경향이 있다.
  • 훑듯이 읽다보면 한 번에 머리에 들어오지 않는 문장이 등장한다. 10% 정도의 한 번에 흡수할 수 없는 문장이다. 이런 부분은 속도를 줄여 천천히 이해하며 읽는다. 프로그래밍의 if 조건절 처럼, 한 번에 머리에 들어오지 않는 문장이 발견될 때만 속도를 줄여 읽는 방식 때문에 조건 독해법이라 불린다.
  • 속도를 줄여 천천히 읽어도 이해가 되지 않는다면, 과감히 넘기고 2회 독파한다.

속독의 단점 : #나의 독해속도는 느리지 않다 #속독은 누락이 많다

속독가들이 한번 본 책을 나중에 다시 보면 중간중간 빼먹었던, 혹은 기억이 나지 않는 소소한 부분이 있음을 알게 된다. 전체적인 의미를 파악하고 넘어가거나 넘겨버리기 때문에 실제로 기억해둘 필요를 못느끼거나 읽지를 않고 넘어가는 부분이 생기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점. 물론 속독을 하면서 오자까지 잡아내는 괴물도 있지만 예외로 칠 정도로 적은 경우다.
 
또한 소설이 아닌 전문 서적을 읽을 때는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 전문서적은 책을 단순히 읽는 것뿐 아니라 그 원리를 이해하고 나아가 적용, 연계까지 할 수 있어야 그 책을 읽었다고 할 수 있다. 스토리텔링 위주의 가벼운 문학에는 도움이 되겠지만 그 이상의 도서를 읽을 때는 도움이 안 된다는 것. 특히 대학교 전공서적, 학술논문, 헌법판례, 반박과 재반박이 왔다갔다하는 지극히 논쟁적인 주제를 다룬 글, 심오한 철학적 개념을 다룬 글, 충분한 배경지식이 요구되는 글 등, 고도의 지적 활동이 요구되는 독서에는 이미 읽는 속도라는 것이 사실상 별 의미가 없어진다. 심지어 인문학의 경우 세계 최고의 석학들도 기껏해야 한 구절 내지는 한 페이지 붙들고 몇 시간씩 끙끙대는 경우가 흔하다. 속독학원들에서 흔히 광고하는 내용이 대부분 꼬마아이가 큼지막한 글씨의 동화책을 파라라라락 넘기는 모습인 것도, 전문 서적에 적용하기는 무리가 있는 방법이기 때문이다. 물론 읽는 속도가 빠르다면 고도의 지적활동이 요구되는 독서에서도 어느 정도 도움이 되기는 할 것이다. 앞에서 언급했듯이 속독이 가능한 사람들은 책의 내용과 문장을 이해하는 속도가 빠른 편이기 때문.
 
그 외에도 내용에 대해 고찰하거나 사색하는 과정이 필요한 책의 경우에도 속독이 딱히 유용하다고 보기 힘들다. 이 때문에 책을 세세하게 읽고 머리속으로 장면을 그려보거나 고찰하기를 좋아하는 사람들은 속독하는 이들을 두고 낭만이 없다, 사색은 언제 하냐, 그게 무슨 책 읽는 거냐 등의 이유로 싫어하기도 한다.
 
수험생에게는 양날의 검이다. 인터넷 광고나 속독사이트 리뷰게시판을 보면 마치 속독(의미단위 읽기)이 마법의 묘약처럼 묘사되곤 한다. 하지만 실제로 체험해보면 효과가 있는 사람은 거의 없으며, 책을 많이 읽은 사람은 필요가 없을 수 도 있다.
 
속독이 효과적이라는 주장은 심리학자가 편찬한 '유혹하는 심리학(Scott Lilienfeld 외 3인, 타임북스, 2010)'에서 대표적인 대중심리학의 주장으로 뽑힌 바 있다. 또한 속독(skimming)이 특정 기술으로서의 의미가 없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특정한 사람들이 텍스트를 다른 사람들보다 훨씬 빨리 읽어내는 것은 단순히 그 사람들이 교육 등의 외부 효과에 의해 특정한 텍스트에 다른 사람들보다 훨씬 더 익숙하며, 집중력과 이해 능력, 그리고 동체 시력이 좀 더 좋기 때문에 일어나는 결과이지 특별한 기술을 쓰고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결론이 그것이다. 따라서 책 한 번 제대로 읽어보겠다고 무작정 속독학원 같은 곳에 등록하는 것은 될 수 있으면 자제하도록 하자.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