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흐름을 읽는 경기종합지수

남선혜/ KDI 경제정보센터 연구원2013.08.29

옛사람들은 주변의 자연 현상을 보고 날씨를 예측했다. 이는 ‘달무리가 지면 비가 온다.’, ‘서리가 많이 내린 날은 날씨가 좋다.’ 등과 같은 속담에도 잘 녹아있다. 일상에서 예측 가능한 것은 비단 날씨만이 아니다. 우리는 일상생활의 소비 경향을 보고 경기를 전망하기도 한다. ‘립스틱 효과(lipstick effect)’가 대표적이다. 립스틱 효과는 경기가 불황일수록 립스틱과 같은 저가의 화장품이 많이 팔리는 현상을 가리키는 용어로서, 1930년대 미국 대공황 때 저가 화장품이 잘 팔렸던 것에서 유래했다. 이외에도 불황일수록 미니스커트가 유행하고 소주가 잘 팔린다는 등 경기를 진단하는 재미있는 이야기가 많다.
 
또한 미국에서는 맥도날드 구인광고가 감소하면 경기가 나빠진다든지, 스타벅스 커피 맛이 싱거워지면 경기가 후퇴한다고 여기기도 한다. 그러나 한 나라의 경기를 살피는 데 스커트의 길이를 체크하고 소주 판매량을 점검하는 것에 의존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객관적으로 경기를 가늠하기 위해 활용하는 것이 경기종합지수(Composite Economic Index)다.

| 경기 전체를 본다, 경기종합지수

경기종합지수란 경기 상황을 잘 반영하는 고용·생산·소비·투자·대외·금융 지표를 가공 및 종합해서 작성한 종합경기지표로서, 선행·동행·후행 종합지수 세 가지로 구성된다. 선행종합지수는 실제 경기순환에 앞서 변화하는 경제지표를 이용해 만든 지수로 향후 경기가 어떻게 변동 할지 예측하는 데 사용한다. 동행종합지수는 실제 경기순환과 함께 변동하는 경제지표를 활용해 작성한 지수로 현재의 경기가 어떤지 판단하는 데 활용한다. 마지막으로 후행종합지수는 실제 경기순환보다 나중에 변동하는 경제지표를 종합해 만든 지표로 현재 경기를 나중에 확인하는 데 쓰인다. 이렇게 작성된 경기종합지수는 경기변동의 국면 및 전환점을 파악하고 경기변동 속도 및 진폭을 측정하는데 주로 활용한다.
 
선행종합지수가 앞으로의 경기가 어떻게 변화할지 알아보는 데 쓰이고, 동행종합지수가 현재의 경기가 호황인지 불황인지 알려준다면 그것이 가능한 이유는 무엇일까? 그 비밀은 종합지수를 구성하는 지표들에 숨겨져 있다. 다시 말해 선행종합지수는 경기가 상승하기 전 미리 상승할 수 밖에 없는 지표를 종합해서 만들었고, 동행종합지수는 현재 경기 상황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되는 지표만 골라 담았다. 그런 만큼 경기변동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 적절한 지표를 선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현재 사용하는 경기종합지수의 구성 지표는 2012년 2월 공표된 제8차 경기종합지수 개편결과가 반영된 것으로, 최근 경제 환경의 변화를 반영하고 경기설명력을 높이기 위해 변경됐다. 선행종합지수는 기존10개에서 9개로, 동행종합지수가 기존 8개에서 7개로 변경됐으며, 후행종합지수는 구성 지표는 바뀌었으나 지표수는 5개로 기존과 동일하다. 또한 선행종합지수의 보조지표가 기존의 전년 동월비에서 순환변동치로 변경해 동행지수 순환변동치와 직접 비교할 수 있도록 했다.
 


 
현재 경기종합지수는 기준시점인 2010년을 100으로 환산한 것으로 통계청·한국은행·관세청 등의 통계작성기관에서생산한 주요 경제지표를 종합해 통계청에서 매월작성 및 발표한다. 이때 선행종합지수는 최근 2개월, 동행종합지수는최근 3개월, 후행종합지수는 최근 2개월이 잠정치(p)다.
 

 
<그림 1>은 2007년 이후의 선행·동행·후행 종합지수를 보여준다. 각 종합지수는 전체적으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지만, 세계 금융위기가 있었던 2008년에 눈에 띄는 변화가 있었다. 우선 선행종합지수가 하락했다. 이어서 동행종합지수와 후행종합지수가 떨어졌다. 이처럼 경기종합지수를 살펴보면 과거와 현재 그리고 앞으로의 경기변동을 살펴볼 수 있다.

| 매력적인 보조지표, 선행·동행 지수 순환변동치

선행종합지수와 동행종합지수는 장기적으로 상승 추세를 띤다. 그래서 선행·동행 종합지수의 수치만을 놓고 논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오히려 과거에 비해 얼마나 증가했고, 감소했냐가 더 중요하다. 경기를 판단하는 데 추세변동을 제거한 순환변동치를 보조지표로 활용하는 것도 그런 까닭에서다. 순환변동치를 사용함으로써 우리는 장기 추세를 제거하고 경기변화를 더 뚜렷하게 알아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선행지수 순환변동치가 100 이상이면 장기추세보다 더 성장하고, 100 이하면 추세보다 낮게 성장할것이라고 예측한다. 또한 동행지수 순환변동치가 100 이상이면 경기가 호황이고 100 미만이면 경기가 불황이라고 여긴다. <그림 2>는 선행 및 동행 지수 순환변동치를 한눈에 보여준다.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2007년 말부터 급감하다 2009년 이후 상승세를 보였다.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도 약간의 시간차를 두고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2011년 4월 이후부터 최근까지 100을 넘는 경우가 드물었던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2013년 6월 건설수주액·코스피는 감소했으나 기계류내수출하지수·구인구직비율 등이 증가해 전월 대비 0.5p 상승한 100.4를 기록했다.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2012년 5월 이후 100 미만을 지속하고 있으며, 2013년 6월 건설기성액·비농립어업취업자수 등이 증가해 전월 대비 0.2p 상승한 99.0을 보였다

통계청 발표: https://kosis.kr/search/search.do?query=%EC%84%A0%ED%96%89%EC%A2%85%ED%95%A9%EC%A7%80%EC%88%9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