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이익의 퀄리티
, 비즈니스모델
, 시장선도기업
, 가설 사고
, 함수 사고
, 확장성
, 제로베이스 사고
내용요약
주식과 주식 시장에 관하여
- 시장 1등기업: 공포일때 다가가라. 시장이 힘들때 경쟁사가 퇴출되기 때문에, 시장 1등기업은 늘 살아남는다.
- 포트폴리오의 분산
- 기업의 성장성에 대한 가설을 세우고, 지속적인 가설수정을 통해 방향성을 견고히한다: `가설사고'
- 예를 들어 삼성전자. 삼성전자는
초격차 기술
과시장의 과점
을 통해 성장을 해나가는데, 이 2개의 성장요소는 5년 10년 후에도 지속될 수 있을 것인가? 초격차 기술은 한계에 다다르고 있기 때문에, 초격차 기술을 통한 성장견인은 한계가 있을 것이다(가설). 중국 반도체 제조업들은 내수를 통해 성장하기 때문에, 그들의 낮은 가격에 의한 삼성전자의 시장과점적 지위는 박탁될 것이다(가설)
- 예를 들어 삼성전자. 삼성전자는
- 시장전체의 평가: 이익의 퀄리티 =
지속성
확장가능성
예측가능성
비변동성
- 과거 코스피 지수와 모든 기업의 매출, 영업이익의 추세를 보면 현재는 코스피 지수가 최상단을 찍을 만큼 영업이익이 올라오지 않았다. 이 말인 즉슨, 현재 주가는 유동성에 의해 overestimate 되고 있다는 의미
어떤 업계를 유망하다고 보는가
IT주
- IT업계는 디지털이라는 생산수단을 통한 무한한 확장성을 지녔다.
- 기존의 PBR은 IT업계에서는 통하지 않으므로, IT기업에 대한 새로운 PBR 평가가 필요하다.
수소 에너지
- 수소에너지는 세계어디서든 쉽게 구할 수 있는 것이다.
- 다만 수소에너지를 만들기 위해 전기가 필요한데, 대체에너지를 통해 이 전기를 조달하면 무한한 에너지 동력을 생산할 수 있는
에너지 밸류체인
이 탄생한다.
대표님의 회사에서는 어떤 기준으로 종목을 담는가
step1: 산업의 존재가능 여부 평가
- 이 산업이 재화와 서비스가 실제 효용이 있나?
- 적정가격으로 생산할 수 있나?: 과거 탄소섬유는 너무 비싸서 시장형성이 매우 늦게되었음
- 생산가능한 인프라가 존재하는가?: IT인프라가 없었다면 유튜브도 없었을 것
산업의 성장성평가
지속성
확장가능성
예측가능성
비변동성
기업 선정
종목의 프리미엄 추정
지속성
확장가능성
예측가능성
비변동성
잠재와 현재주가의 차이가 큰가
매수매도 타이밍은?
- 매도 타이밍
- 종목 선정시 가설의 전제로 삼았던 요소가 무너질때
- 단기적인 이벤트로 실적이 악화된 것은 매도의 고려요소가 아니다.
- 매수 타이밍
종목 선정시 가장 중요하게 보는 것은?
재무제표 <- 비즈니스모델 <- 경영자의 마인드
비즈니스 모델: 비즈니스 모델을 가장 중요하게 본다. 내가 제주도에서 리조트를 할 때의 경험을 통해 비즈니스 모델이 선정의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된다는 것을 깨닳았다. 제주도에서 시작한 리조트 사업이 매우 잘됐다. 당시, 자산운용사와 리조트 사업 2개를 영위했는데, 자산운용사는 적자과 리조트 사업은 큰 흑자였다. 하지만, 리조트 사업은 이익이 잘 나오는데도 너무 불안했다. 태풍이 언제올지, 중국 관광객이 언제줄어들지, 내년에는 리조트가 몇 개나 더 신설될지 리스크가 너무 많았다. 이때 나는 당장의 재무제표보다 장래적인 비즈니스 모델이 종목 선정에 더 큰 이유가 된다는 걸 알았다. 나는 원래 재무제표 신봉자였다. 재무제표만 보고 모든걸 판단했다. 하지만, 재무제표는 어디까지나 과거 실적데이터다. 과거 데이터로 미래를 예측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그 이후, 우리 운용사에서는 비즈니스 모델의 장래성을 성장성을 파악하는 가장 큰 재료로 삼고 있다.
경영자의 마인드: 과거 한진을 지분공시한 적이 있다. 한진 기획팀에서 와서 적대적 M&A를 위한 행보는 아닌지 물어보기도 하고 매우 불안해 하더라(웃음). 나는 한진 쪽에 경영에 관여할 생각은 없고, 내가 생각하는 미래의 모습을 이야기했다. 하지만, 당시 택배회사에서 거의 독점적 지위를 차지하고 있던 한진은 내가 제시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쪽은 생각도 안하더라. 이때 알았다. 경영자의
통찰력
추진력
욕심
이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고, 그게 재무제표라는 결과로 나온다.
'Finance Investment > Investment_post'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내외 거시경제변수가 주가변동에 미치는 파급효과 분석 (0) | 2021.01.03 |
---|---|
배진한 인터뷰: 100% 벌어다줄 기업에만 투자, 턴어라운드 종목, 높은 자산 보유, 경영인, 주주에 관한 사항 (0) | 2020.12.22 |
인적분할과 물적분할 (0) | 2020.12.09 |
주가상승이 기업에 어떠한 영향을 주나, 유리한 합병비율, 유상증자, 적대적 인수합병 방어, 주식담보 대출 액수 증가, 기업이미지 재고 (0) | 2020.12.09 |
엑셀로 배우는 비즈니스 시뮬레이션 (0) | 2020.1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