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 유럽: 고용자 해고 방지에 중점을 맞춘 코로나 노동 정책으로 노동자 해고가 적은 반면 유휴 노동력이 증가 -> 노동자들의 임금 상승 교섭력 약화 -> 낮은 임금상승률 -> 인플레이션 함수 중 평이한 수요 유지 -> 낮은 임플레이션 -> ECB의 선택권이 많음
- 미국: 실업자에게 중점을 맞춘 코로나 노동 정책으로 노동자 해고가 많은 반면, 경기 재 상승시 노동 수요가 높음 -> 노동자들의 임금 상승 교섭력 강화 -> 높은 임금상승률 -> 인플레이션 함수 중 높은 수요 유지 -> 높은 인플레이션



'지식 > 거시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전통적 통화정책, 양적완화, 중앙은행의 대차대조표 (0) | 2022.02.15 |
---|---|
GDP의 3가지 산출법, GDP 구성 변수 분석 (0) | 2022.01.21 |
시동 걸린 양적긴축, 달라진 금융시장: 테이퍼링, 양적완화, 양적긴축, 재투자 (0) | 2022.01.17 |
채권수익률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분석 (0) | 2022.01.03 |
양적 완화, 양적 긴축, 테이퍼링이란? 양적완화와의 관계와 금리에의 영향 (0) | 2021.1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