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kconfigまとめ

この記事は最終更新日から3年以上が経過しています。

多くの方がまとめてはいますが、個人の学習のためにchkconfigコマンドについてまとめてみました。

chkconfigコマンドとは?

サービスのシステム起動時の挙動設定を行う。システム起動時に自動起動するサービスの設定や不必要なサービスを停止するなどの設定を行う。例えば、サーバ起動時にApacheも同時に起動させたいとき、chkconfigで設定を行うことで実現できる。

chkconfig関連オプション

1:サービスの設定リストを閲覧する

/sbin/chkconfig --list

スクリーンショット 2014-11-13 0.40.18.png

onとoffの前についている数字(0〜6)はランレベル(Run Level)と呼ばれるものです。
--list オプションではサービス名指定もできます。

サービス名指定の例:/sbin/chkconfig --list redis

Run Level状態
0システムの停止
1シングルユーザモード
2マルチユーザモード
3マルチユーザモード(コンソールログイン)
4未使用
5マルチユーザモード(ディスプレイマネージャ使用)
6システム再起動

2: サービス設定の追加

/sbin/chkconfig --add サービス名

3: サービス設定の削除

/sbin/chkconfig --del サービス名

4: サービスの起動設定をランレベル指定で設定する

/sbin/chkconfig --level 2 サービス名 on

上記は[サービス名]のサービスのランレベル2の自動起動設定を有効にする、という意味になります。
複数レベルを指定しての設定も可能です。

便利な使い方

1: 特定のサービスの起動設定を全て有効にする

/sbin/chkconfig サービス名 on

2: 特定のサービスの起動設定を全て無効にする

/sbin/chkconfig サービス名 off

3: 複数レベルの設定を行う

/sbin/chkconfig --level 34 サービス名 on

*上記は[サービス名]のサービスのレベル3と4の起動設定を有効にするという意味になります。

注意

変更されたサービスの設定はすぐに反映されるわけではありません。次回システムを起動した際には自動起動されますが、即時に起動させたい場合はサービスの起動を行う必要があります。

/sbin/service サービス名 start 

startをstopにすると停止、restartにすると再起動という意味になります。


데몬(daemon) 이란?

데몬이란 리눅스 시스템이 처음 가동될 때 실행되는 백그라운드 프로세스의 일종이며, 사용자의 요청을 기다리고 있다가 요청이 발생하면 이에 적절히 대응하는 리스너와 같은 역할을 한다. 즉, 메모리에 상주하면서 특정 요청이 오면 즉시 대응 할 수 있도록 대기중인 프로세스를 말한다. MS윈도우의 서비스(Service)와 유사하고 실제로 '서비스'라고 부르기도 하다. 보통 리눅스 시스템의 1번 프로세스인 init(PID=1)이 실행하고, 데몬 프로그램의 명령어는 'd'로 끝난다. (ex. ftpd, mysqld, httpd...)


리눅스 시스템은 주로 서버로서의 역할을 많이 수행하는데 (요즘은 데스크탑으로도 많이 쓴다만...) 가령, ftp서버, 웹서버, DB서버 등의 역할을 하는 시스템이라면, 해당 데몬이 실행중이어야 사용자의 요청을 처리할 수가 있다.


리눅스에서 데몬을 실행하는 방법은 크게 두가지가 있다. standalone 방식과, super daemon을 통하는 방식이 그것인데, 일반적으로 빈번히 사용하는 데몬을 standalone 방식으로, 자주 사용하지 않는 데온을 super daemon방식으로 실행한다. 만약 리눅스 서버를 웹서버로 사용한다면, 사용자의 웹 서비스 요청이 매우 빈번히 일어날 것이고, 따라서 'httpd' 와 같은 웹서버 데몬은 standalone 방식으로 실행한다.



standalone type daemon

- 독립적으로 수행되며 서비스 요청에 응답하기 위해 항시 메모리에 상주하는 데몬이다.

- 데몬의 실행 스크립트 위치 : "/etc/inetd.d/" 



inetd type daemon

inetd라고 하는 특별한 데몬에 의해 간접적으로 실행되는 데몬이다. 보안상의 이유로 xinetd로 수정되었으며 슈퍼데몬이라고도 한다. inetd에 어떠한 요청이 들어오면 inetd는 해당되는 데몬을 메모리에 올리고 요청을 처리하게 된다.

데몬의 실행 스크립트 파일 : "/etc/xinetd.d/" 



Ubuntu Server에서의 데몬

Ubuntu 8.10기준으로 Server 버전이든 Desktop 버전이든 기본적으로 Super daemon이 설치되지 않는다. apt-get명령어를 이용한 패키지 설치를 통해 설치할 수 있다.


$ sudo apt-get install netkit-inetd


Ubuntu에서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 특정 프로그램에 의존해하는 것을 지향하기 때문에, 기존과 같이 super daemon을 default로 사용하지 않는것 같다. Ubuntu 패키지 DB에서 제공하는 데부분의 프로그램들이 standalone 타입으로 설치되도록 설정되어 있으며(ex. sshd), 기타 외부 프로그램들도 대부분 standalone으로 설정할 수 있다고 한다. 만약 super daemon이 꼭 필요하다면 위의 명령어로 실행할 수 있고, standalone 방식과 super daemon방식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취향에 맞게 사용하면 될 듯하다.



참고사이트 : http://blog.naver.com/yhpeople?Redirect=Log&logNo=20011282102

출처: http://brothernsister.tistory.com/27 [개발자의 일상]


1. 허가권(Permission)


ls 명령어를 실행해서 파일과 디렉토리의 목록을 보면 앞에 다음과 같이 나타나는 부분이 있을 것이다. 이것을 리눅스에서는 허가권(Permission)이라고 부른다.



-rw-r--r-- : 파일(앞이 -라면 파일)

drwxr-xr-x : 디렉토리(앞이 d라면 디렉토리)

 

★rwx란?


r : read(읽기)

w : write(쓰기)

x : execute(실행, 접근)



r의 의미


- 파일에서의 'r'의 의미 : 파일의 내용을 읽어들이는 명령어들과 관련이 있다.

- 디렉토리에서의 'r'의 의미 : 디렉토리 내용을 읽어들이는 것과 관련있다.(ls)


w의 의미


- 파일에서의 'w의 의미 : 내용을 수정, 변경하는 명령어들과 관련이 있다.


- 디렉토리에서의 'w'의 의미 : 디렉토리 및 그 내부의 생성 및 삭제와 관려이 있다.

 

x의 의미

 

- 파일에서 'x'의 의미 : x가 있으면 실행파일, 없으면 문서파일, 접근 권한을 포함한다.

 

- 디렉토리에서 'x'의 의미 : 접근 권한의 여부


접근을 할 수 있어야 파일 및 디렉토리를 읽을 수 있고 읽을 수 있어야 수정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즉, 접근 권한이 보장이 되어야 한다.

 


■ chmod


chmod - 허가권 설정(사용자 권한 : w / 그룹의 권한 : r / 그외 사용자 : o)  

 

1. numeric method

 

chmod 461 file/directory (4 : r / 6 : r+w / 1 : x)

→ 사용자에게 읽기 권한 부여 / 그룹에 읽고 쓰기 권한 부여 / 그 외 사용자에게 접근권한 부여

상기의 rwx를 나타낸 표를 함께보면 이해하기 쉽다. rwx를 모두 승인 하면 111(2)=7, rw-이면 110(2)=6, r--이면 100(2)=4 가 된다.


 

# chmod(numeric method) 실습

 

- test파일에 관하여 사용자, 그룹, 그 외 사용자 모두에게 일체의 권한을 주지 않겠다.

 

 


2. symbolic method

 

chmod g+r file/directory (g : group / r : read) 

→ 그룹에 읽기 권한 부여

 


# chmod(symbolic method) 실습

 

- 그룹에 읽기 권한과 쓰기 권한을 부여하겠다.

 

 

 

 # numeric method와 symbolic method 문제


1. /a/라는 디렉토리를 생성한다.

2. /a/testing이라는 파일을 생성한다.

3. rw-r----x로 허가권을 변경한다.(numeric method를 이용하여)

4. r--rwxrw-로 허가권을 변경한다.(symboilic method를 이용하여)



rw-r----x : rw-[6] / r--[4] / --x[1] 

→ owner(user) [읽기, 쓰기 권한 부여] / group [읽기 권한 부여] / other [접근 권한 부여]


r--rwsrw- : r--[u-w] / rws[g+wx] / rw-[o+rw-x]

→ owner(user) [읽기 권한 부여] / group [읽기,쓰기,접근 권한 부여] / other [읽기, 쓰기 권한 부여]



2. 소유권(Ownership)


ls 명령어를 실행했을 때 표시된 이 부분을 보고 리눅스에서는 소유권(Permission)이라고 부른다.



앞 부분의 root가 소유자, 뒤의 root가 소유그룹이다.


■ chown


chown - 소유자 및 소유그룹 설정




1. 소유자만 변경하고 싶을 때 (소유자 root를 tcpdump로 변경)

chown tcpdump /a/testing


2. 소유자와 소유그룹 모두 변경하고 싶을 때 (소유자를 root로 소유그룹을 test로 변경)

chown root:test /a/testing


3. 소유그룹만 변경하고 싶을 때 (소유그룹 test를 root로 변경)

chown .root /a/testing



소유그룹만 변경하고 싶을 때는 1번 예제에서 명령어를 chgrp로만 변경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하지만, chown을 주로 쓰기 때문에 3번과 같이 써도 된다.




아마존 EC2 리눅스 서버에 파일을 전송하기 위해 WinSCP 프로그램 세팅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반 유저인 ec2-user 로 접근하면 파일을 전송하기에 제약이 따르기 때문에 관리자(root) 권한으로 세팅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찾아보니 이런 문서가 있었습니다. 따라해 보니 정말 되더군요..

한번 따라해 볼께요..^^

먼저 Putty 프로그램을 통해서 ec2-user 사용자로 로그인을 합니다.

관리자 권한을 획득하기 위해서 sudo su root 해서 권리자 권한으로 변경합니다.

그리고는 위에 이미지의 설명대로 visudo 합니다.

쭉 명령어가 많이 나오고 주석이 대부분 되어 있는데..55번째 줄쯤에...

이런 문구를 찾습니다.

Defaults     requiretty   -> Defaults     !requiretty

로 변경을 해 줍니다. 앞에 !표시만 하나 넣어주고 저장을 하고 나옵니다. (wq 하고 나오면 되겠죠..)

그러고 나서는 WinSCP 프로그램을 실행시킵니다.

로그인 페이지가 나오면 중간부분에 Advanced 버튼을 누릅니다.

그러면 세부 설정이 나오는데, Enviroment - Shell 을 선택해서 Shell  값을 sudo su - 로 변경해 줍니다.

드롭박스에 그렇게 메뉴가 있기때문에 선택만 해 주면 됩니다. OK를 눌러주시구요.

그리고는 세션값을 변경해야 합니다.

세션값은 File protocol 값을 SCP로 변경해 주시면 됩니다. 그러면 이제 다 되었습니다.

이값들로 파일을 송수신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간단한 파일 하나를 전송해 보겠습니다.

잘 넘어가네요..^^

제 컴퓨터에 desktop.ini 파일이 아마존 EC2 서버측으로 전송된 모습을 잘 보실수 있습니다.

권한도 root로 잘 넘어가 있네요..

그렇게 아마존에서 만든 서버에도 파일을 자유자제로 전송이 가능하답니다. ^^

 

여러분도 아마존에서 리눅스로 EC2서버를 만드셨다면 꼭 필요하실겁니다. ^^ 





+추가로 참고한 블로그

아마존 AWS 접속시 루트 관리자로 WinSCP(sFTP) 로그인 후 서버의 파일 바로 편집(수정/삭제/전송)하는 방법

1. putty로 아마존 AWS에 터미널 접속 및 로그인(일반사용자)   

2. 루트관리자 계정 만들기(root)
   $ sudo passwd
   처음엔 일반사용자 패스워드 입력.
   그 다음엔 루트사용자 패스워드 입력.
   완료되었다고 나오면 루트 관리자로 로그인 테스트
   $ su -

3. ssh 터미널에 루트관리자로 로그인하기 위한 ssh 환경설정파일 편집
   vi 에디터로 파일 열기( vi 대신 nano 사용 가능)
   $  vi /etc/ssh/sshd_config  또는 nano /etc/ssh/sshd_config

   PermitRootLogin without-password 라인을 아래와 같이 수정
   PermitRootLogin yes

   StrictModes yes 라인을 아래와 같이 수정(주석처리로 비활성화. 앞에 #만 붙이면 됨)
   #StrictModes yes

4. 아마존 AWS로 부터 받은 일반사용자 암호화키를 루트관리자 계정에도 복사(cp 명령어 사용 : cp는 copy를 의미)
   $ sudo cp /home/ubuntu/.ssh/authorized_keys   /root/.ssh

   * 위의 경로에서 /home/ubuntu는 윈도우 OS로 따지면 "C:\사용자\홍길동" 과 같음.
     따라서, 여기서 ubuntu는 아마존에서 인스턴스 생성시 자동으로 만들어진 사용자 계정의 기본 홈 폴더임.
     명칭이 다른 경우엔 당연히 /home/ 뒤에 해당 명칭을 입력해줘야 함.
     .ssh/authorized_keys는 보안을 위한 개인 암호화키가 해당 디렉토리에 들어있음을 표시.
     따라서, /home/ubuntu/.ssh/authorized_keys를 /root/.ssh 디렉토리에 복사하면 루트관리자 로그인시 일반사용자 로그인처럼 해당 암호화키를 사용해서 로그인할 수 있는 것임

5. ssh 서비스 재시작
   $ sudo service ssh restart

6. WinSCP 실행 후 아마존 AWS 아이피 입력하고 루트 계정(아이디 : root  / 암호 : 설정값) 입력

7. 루트 관리자 로그인

8. 서버 디렉토리가 열리면 수정이 필요한 파일 디렉토리로 이동

9. 해당 파일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 클릭해서 열기

10. 수정 후 저장 테스트

11. 완료

이후부터는 WinSCP를 통해서 루트 관리자로 로그인해서 바로 특정 파일들을 수정하거나 삭제,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 할 수 있습니다.

 




출처: http://minjoycording.tistory.com/19 [민조이의 코딩]





[Ubuntu] 우분투 서버(16.04)에 톰캣 설치

7개월 전 




우분투 서버에 톰캣 설치하기



웹 서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톰캣(WAS)이 필요하다. 여기에서는 tomcat8을 설치한다.





다음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우분투에 tomcat8을 설치한다.


  # 톰캣8 설치
  sudo apt-get install tomcat8






다음으로 설치된 톰캣의 버전을 확인해 보자.


  # 톰캣 버전 
  sudo /usr/share/tomcat8/bin/version.sh






이제 톰캣이 정상적으로 돌아가는지 테스트해볼 것이다. 그전에 방화벽에서 톰캣의 포트를 외부 접속이 되도록 변경해야 한다. 톰캣의 기본 포트는 8080으로 만약 포트를 변경했다면, 변경한 포트를 입력하면 된다.


  # 방화벽에서 톰캣 포트 외부접속 
  sudo ufw allow (톰캣 포트번호)/tcp






다음으로 톰캣을 실행시킨다.


  # 톰캣 
  sudo service tomcat8 start






PC에서 브라우저 주소창에 서버 아이피주소:포트를 입력하여 위와 같은 페이지가 뜨면 정상적으로 작동되는 것이다.


  http://우분투 서버 IP주소:톰캣 포트번호





  ## 톰캣 관련 명령어
 
  # 1. Tomcat 설치
  sudo apt-get install tomcat8
 
  # 2. Tomcat 제거
  sudo apt-get remove tomcat8
 
  # 3. Tomcat 상태 확인
  ps -ef | grep tomcat
 
  # 4. Tomcat 버전 확인
  sudo /usr/share/tomcat8/bin/version.sh
 
  # 5. Tomcat 시작
  sudo service tomcat8 start
 
  # 6. Tomcat 정지
  sudo service tomcat8 stop
 
  # 7. Tomcat 재시작
  sudo service tomcat8 restart
 
   #  Tomcat 설치경로
   /usr/share/tomcat8  →  executable &l ibraries
   /var/lib/tomcat8  →  conf & webapps



출처: http://all-record.tistory.com/182?category=733055 [세상의 모든 기록]



[Ubuntu] 우분투 서버(16.04)에 자바 설치



우분투를 서버에 자바를 설치해 보자. 여기에서는 openjdk-8을 설치할 것이다. 



우분투 서버에 자바 설치



JDK와 JRE 설치 명령어를 실행한다.


  # JRE, JDK 설치
  sudo apt-get install openjdk-8-jre
  sudo apt-get install openjdk-8-jdk







JDK 설치 시 계속 진행할 것인지 묻는데 Y를 입력하면 된다.



만약 OpenJDK가 아니라 Oracle JDK를 설치해야 한다면 아래의 명령어를 사용하면 된다.


  # 1. PPA를 추가한다.
  sudo add-apt-repository ppa:webupd8team/java
 
  # 2. apt 업데이트를 진행한다.
  sudo apt-get update
 
  # 3. Java8 을 설치한다.
  sudo apt-get install oracle-java8-installer
 
  # 4. 설치가 끝나면 정상적으로 설치되었는지 버전을 체크해본다.
  javac -version
  java -version
 
  # 5. Java 환경변수 설정을 자동으로 해주는 것을 설치한다.
  sudo apt-get install oracle-java8-set-default




■ 참고 : Oracle JDK 설치





다음으로 자바가 설치되었는지 확인한다.


  # Java 설치 확인을 위한 버전체크 
  javac -version
  java -version


해당 명령어를 실행하면 현재 설치된 자바의 버전이 나온다.





  # 설치된 자바 목록 
  sudo update-alternatives --config java



만약 여러 종류의 자바가 설치되어 있다면 위 명령어를 통해 Default Java를 선택할 수 있다. 현재는 1개의 자바만 설치되어 명령어를 실행하면 위처럼 나온다. 





여러 개의 자바가 설치되어 있다면 설치된 자바 목록이 나올 것이다.




자바 환경변수 설정





자바 설치가 끝났으면 환경변수를 설정해야 한다. 먼저 javac 위치를 확인한다.


  # javac 위치 확인
  which javac
  
  readlink -/usr/bin/javac



실행 결과를 보면 javac의 실제 위치는 /usr/lib/jvm/java-7-openjdk-amd64/bin/ 이다. 따라서 $JAVA_HOME /usr/lib/jvm/java-7-openjdk-amd64 으로 설정해야 한다.





  # profile을 연다.
  sudo nano /etc/profile



환경변수 설정을 위해 profile을 연다.





profile 파일 아래쪽에 위에 표시된 부분을 입력한다.


  # 환경변수
  export JAVA_HOME=/usr/lib/jvm/java-8-openjdk-amd64
  export PATH=$JAVA_HOME/bin:$PATH
  export CLASS_PATH=$JAVA_HOME/lib:$CLASS_PATH



입력 후 Ctrl+X → Y 입력 → 엔터 키를 눌러 저장을 한다.





  # profile reload
  source /etc/profile 



다음으로 명령어를 실행시켜 profile 파일을 reload 한다.





  # 우분투 서버 
  sudo reboot now



그리고 우분투 서버를 재시작 한다.






  # 환경변수를 확인
  echo $JAVA_HOME
  
  $JAVA_HOME/bin/javac -version



서버 재시작 후 echo 명령어를 이용해 환경변수를 확인한다. 위 사진처럼 나타나면 환경변수 설정이 정상적으로 된 것이다. 여기까지가 우분투에 자바를 설치하는 과정이다.




출처: http://all-record.tistory.com/181?category=733055 [세상의 모든 기록]

프로그램 백그라운드에서 실행하기 (nohup 명령어)


knoow 2016.06.22 16:31
원글출처 : http://knoow.tistory.com/89


서버프로그램 개발 중 터미널에서 관련 실행파일을 돌리고 있는데, 문득 드는 생각 '프로그램 2개를 돌리려면 터미널을 2개 열어야하나?'


그럴리는 없다고 생각하고 바로 리눅스에서 백그라운드로 실행하는 방법을 검색


여러가지 방법이 있겠지만, 가장 간단한 방법이 nohup 명령어를 사용하는 방법이다.


<실행 방법>


1. 백그라운드에서 돌리기 위한 실행파일을 준비한다. (나의 실행파일 이름은 main.js)


2. 명령어 입력하면 끝

# nohup node /절대 경로/main.js &


*구체적으로 노드를 nohup으로 구동하는 명령어

1) 일반 실행


[root@localhost myWebRtc]# node server.js

Socket IO server has been started


- 내 ssh 프로세스가 node server.js 프로세스에 묶여버려 다른작업을 아무것도 하지 못한다.



2) Background 실행


[root@localhost myWebRtc]# nohub node server.js & (단, 현재 디렉토리에 파일이 있다는 가정)

[1] 31498


- Background Process로 실행되어 


내가 실행하려고 했던 node.js 웹서버가 돌아가는 도중에도 동시에 다른 리눅스 명령어를 칠 수 있다.





3. 잘 돌아가는지 확인

# ps -aux | grep main.js




<중지하는 방법>


ps 명령어로 PID 값을 찾은 후, kill 명령어로 프로세스를 종료시킨다.

# ps -ef | grep a.out

# kill -9 PID번호





※참고


nohup 명령어를 사용하면 명령어를 사용한 디렉토리에 nohup.out 이라는 파일이 자동 생성된다.(예를 들어, /dev/project/priceOnEachMarketWebVersion 에서 nohup를 실행시켰다면, 그 디렉토리 직하에 nohup.out이라는 파일이 생선된다.)



이 파일에는 nohup으로 실행하는 명령의 출력이 기록되어진다.


이 파일을 생성하고 싶지 않다면 /dev/null에 출력하도록 하면 된다.

# nohup echo hello > /dev/null 




출처: http://knoow.tistory.com/89 [ICT Story]

우분투 서버에 nodejs, npm modules 설치


우선, nodejs 및 npm modules 설치에 앞서 apt-get의 업데이트 및 libssl-dev, g++, make에 대한 설치 작업이 필요하다.

부분들을 먼저 설치해야한다.


우분투의 apt-get을 업그레이드 해준다.

▶ sudo apt-get update

* sudo : root 권한으로 명령어를 실행

* apt-get : 리눅스 쉘에서 프로그램 패키지를 다운로드하고 설치하는 명령어

* apt-get update : 패키지 목록을 업데이트


▶ sudo apt-get install libssl-dev g++ make

* libss-dev : SSL 개발에 필요한 라이브러리와 헤더파일을 포함한 패키지

* g++ : c++ 컴파일러

* make : makefile을 통해 빌드를 수행

* apt-get install : 해당 패키지를 설치

▶ y


자 여기까지해서 필요한 기본적인 사항들을 셋팅하였다. 그럼 바로 nodejs를 설치해보자.

아래 주소는 https://nodejs.org/en/download/ 에 접속하여 'Source Code' 부분의 주소를 복사한 것이다.

 wget https://nodejs.org/dist/v5.0.0/node-v4.5.0.tar.gz

* wget : URL을 통해 파일을 직접 내려받음

▶ (설치 진행 중)


ls 명령어를 통해 다운로드 받은 파일이 존재하는지 확인하여 준다.

▶ ls


해당 파일의 압축을 풀어준다.

 tar -xvf node-v4.5.0.tar.gz

* tar : 압축 풀기

* tar -xvf : cvfb로 묶은 tar파일인 rfd1의 압축을 풀 경우


다시한번 ls 명령어를 통해 압축이 제대로 풀렸는지 확인하여 준다.

 ls


node-v4.5.0 폴더가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해당 폴더로 이동하여 준다.

 cd node-v4.5.0


ls 명령어를 통해 해당 폴더의 하위 파일들을 확인해본다. 여기서 configure 파일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아래와 같이 설치를 진행하여 준다.

 ls

 ./configure && make && sudo make install

* configure 파일은 makefile이기에 make 명령어를 통해 설치를 진행한다.

* (소요시간이 꾀 오래 걸린다)

* 만약 /usr/bin/env 'python' no such file or directory 와 같은 메시지가 뜬다면 다음 명령어를 실행시켜 준다.

 sudo apt-get install python-software-properties python g++ make


설치가 완료되었다면 ls 명령어를 통해 아래 그림과 같이 이전에 없던 새로운 파일들이 추가되었는지 확인해보자.


여기까지 nodejs의 설치가 끝났다. nodejs에서 websocket 모듈을 사용하기 위해 이번에는 npm과 websocket 모듈을 설치해보도록 하겠다.

npm이 설치하기에 앞서 기존의 경로(~/node-v4.5.0/)에서 root 경로로 이동을 하여 준다.

 cd


Ubuntu에 내장되어 있는 npm 패키지를 설치한다.

 sudo apt-get install npm

 y



출처: http://myeonguni.tistory.com/1535 [명우니닷컴]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