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git-scm.com/book/ko/v2/Git-%EB%8F%84%EA%B5%AC-Stashing%EA%B3%BC-Cleaning
Git 도구 - Stashing과 Cleaning
Stashing과 Cleaning
당신이 어떤 프로젝트에서 한 부분을 담당하고 있다고 하자. 그리고 여기에서 뭔가 작업하던 일이 있고 다른 요청이 들어와서 잠시 브랜치를 변경해야 할 일이 생겼다고 치자. 그런데 이런 상황에서 아직 완료하지 않은 일을 커밋하는 것이 껄끄럽다는 것이 문제다. 커밋하지 않고 나중에 다시 돌아와서 작업을 다시 하고 싶을 것이다. 이 문제는 git stash
라는 명령으로 해결할 수 있다.
Stash 명령을 사용하면 워킹 디렉토리에서 수정한 파일들만 저장한다. Stash는 Modified이면서 Tracked 상태인 파일과 Staging Area에 있는 파일들을 보관해두는 장소다. 아직 끝내지 않은 수정사항을 스택에 잠시 저장했다가 나중에 다시 적용할 수 있다(브랜치가 달라져도 말이다).
Note | git stash push 로의 이동2017년 10월 말 Git 메일링 리스트에는 엄청난 논의가 있었습니다. 논의는
|
하던 일을 Stash 하기
예제 프로젝트를 하나 살펴보자. 파일을 두 개 수정하고 그 중 하나는 Staging Area에 추가한다. 그리고 git status
명령을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결과를 볼 수 있다.
$ git status
Changes to be committed:
(use "git reset HEAD <file>..." to unstage)
modified: index.html
Changes not staged for commit:
(use "git add <file>..." to update what will be committed)
(use "git checkout -- <file>..." to discard changes in working directory)
modified: lib/simplegit.rb
이제 브랜치를 변경해 보자. 아직 작업 중인 파일은 커밋할 게 아니라서 모두 Stash 한다. git stash
나 git stash save
를 실행하면 스택에 새로운 Stash가 만들어진다.
$ git stash
Saved working directory and index state \
"WIP on master: 049d078 added the index file"
HEAD is now at 049d078 added the index file
(To restore them type "git stash apply")
대신 워킹 디렉토리는 깨끗해졌다.
$ git status
# On branch master
nothing to commit, working directory clean
이제 아무 브랜치나 골라서 쉽게 바꿀 수 있다. 수정하던 것을 스택에 저장했다. 아래와 같이 git stash list
를 사용하여 저장한 Stash를 확인한다.
$ git stash list
stash@{0}: WIP on master: 049d078 added the index file
stash@{1}: WIP on master: c264051 Revert "added file_size"
stash@{2}: WIP on master: 21d80a5 added number to log
Stash 두 개는 원래 있었다. 그래서 현재 총 세 개의 Stash를 사용할 수 있다. 이제 git stash apply
를 사용하여 Stash를 다시 적용할 수 있다. git stash
명령을 실행하면 Stash를 다시 적용하는 방법도 알려줘서 편리하다. `git stash apply stash@{2}`처럼 Stash 이름을 입력하면 골라서 적용할 수 있다. 이름이 없으면 Git은 가장 최근의 Stash를 적용한다.
$ git stash apply
On branch master
Changes not staged for commit:
(use "git add <file>..." to update what will be committed)
(use "git checkout -- <file>..." to discard changes in working directory)
modified: index.html
modified: lib/simplegit.rb
no changes added to commit (use "git add" and/or "git commit -a")
Git은 Stash에 저장할 때 수정했던 파일들을 복원해준다. 복원할 때의 워킹 디렉토리는 Stash 할 때의 그 브랜치이고 워킹 디렉토리도 깨끗한 상태였다. 하지만 꼭 깨끗한 워킹 디렉토리나 Stash 할 때와 같은 브랜치에 적용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어떤 브랜치에서 Stash 하고 다른 브랜치로 옮기고서 거기에 Stash를 복원할 수 있다. 그리고 꼭 워킹 디렉토리가 깨끗한 상태일 필요도 없다. 워킹 디렉토리에 수정하고 커밋하지 않은 파일들이 있을 때도 Stash를 적용할 수 있다. 만약 충돌이 있으면 알려준다.
Git은 Stash를 적용할 때 Staged 상태였던 파일을 자동으로 다시 Staged 상태로 만들어 주지 않는다. 그래서 git stash apply
명령을 실행할 때 --index
옵션을 주어 Staged 상태까지 적용한다. 그래야 원래 작업하던 상태로 돌아올 수 있다.
$ git stash apply --index
On branch master
Changes to be committed:
(use "git reset HEAD <file>..." to unstage)
modified: index.html
Changes not staged for commit:
(use "git add <file>..." to update what will be committed)
(use "git checkout -- <file>..." to discard changes in working directory)
modified: lib/simplegit.rb
apply
옵션은 단순히 Stash를 적용하는 것뿐이다. Stash는 여전히 스택에 남아 있다. git stash drop
명령을 사용하여 해당 Stash를 제거한다.
$ git stash list
stash@{0}: WIP on master: 049d078 added the index file
stash@{1}: WIP on master: c264051 Revert "added file_size"
stash@{2}: WIP on master: 21d80a5 added number to log
$ git stash drop stash@{0}
Dropped stash@{0} (364e91f3f268f0900bc3ee613f9f733e82aaed43)
그리고 git stash pop
이라는 명령도 있는데 이 명령은 Stash를 적용하고 나서 바로 스택에서 제거해준다.
Stash를 만드는 새로운 방법
Stash를 만드는 방법은 여러 가지다. 주로 사용하는 옵션으로 stash save
명령과 같이 쓰는 --keep-index
이다. 이 옵션을 이용하면 이미 Staging Area에 들어 있는 파일을 Stash 하지 않는다.
$ git status -s
M index.html
M lib/simplegit.rb
$ git stash --keep-index
Saved working directory and index state WIP on master: 1b65b17 added the index file
HEAD is now at 1b65b17 added the index file
$ git status -s
M index.html
추적하지 않는 파일과 추적 중인 파일을 같이 Stash 하는 일도 꽤 빈번하다. 기본적으로 git stash
는 추적 중인 파일만 저장한다. 추적 중이지 않은 파일을 같이 저장하려면 Stash 명령을 사용할 때 --include-untracked
나 -u
옵션을 붙여준다.
$ git status -s
M index.html
M lib/simplegit.rb
?? new-file.txt
$ git stash -u
Saved working directory and index state WIP on master: 1b65b17 added the index file
HEAD is now at 1b65b17 added the index file
$ git status -s
$
끝으로 --patch
옵션을 붙이면 Git은 수정된 모든 사항을 저장하지 않는다. 대신 대화형 프롬프트가 뜨며 변경된 데이터 중 저장할 것과 저장하지 않을 것을 지정할 수 있다.
$ git stash --patch
diff --git a/lib/simplegit.rb b/lib/simplegit.rb
index 66d332e..8bb5674 100644
--- a/lib/simplegit.rb
+++ b/lib/simplegit.rb
@@ -16,6 +16,10 @@ class SimpleGit
return `#{git_cmd} 2>&1`.chomp
end
end
+
+ def show(treeish = 'master')
+ command("git show #{treeish}")
+ end
end
test
Stash this hunk [y,n,q,a,d,/,e,?]? y
Saved working directory and index state WIP on master: 1b65b17 added the index file
Stash를 적용한 브랜치 만들기
보통 Stash에 저장하면 한동안 그대로 유지한 채로 그 브랜치에서 계속 새로운 일을 한다. 그러면 이제 저장한 Stash를 적용하는 것이 문제가 된다. 수정한 파일에 Stash를 적용하면 충돌이 일어날 수도 있고 그러면 또 충돌을 해결해야 한다. 필요한 것은 Stash 한 것을 쉽게 다시 테스트하는 것이다. git stash branch <브랜치>
명령을 실행하면 Stash 할 당시의 커밋을 Checkout 한 후 새로운 브랜치를 만들고 여기에 적용한다. 이 모든 것이 성공하면 Stash를 삭제한다.
$ git stash branch testchanges
M index.html
M lib/simplegit.rb
Switched to a new branch 'testchanges'
On branch testchanges
Changes to be committed:
(use "git reset HEAD <file>..." to unstage)
modified: index.html
Changes not staged for commit:
(use "git add <file>..." to update what will be committed)
(use "git checkout -- <file>..." to discard changes in working directory)
modified: lib/simplegit.rb
Dropped refs/stash@{0} (29d385a81d163dfd45a452a2ce816487a6b8b014)
이 명령은 브랜치를 새로 만들고 Stash를 복원해주는 매우 편리한 도구다.
워킹 디렉토리 청소하기
작업하고 있던 파일을 Stash 하지 않고 단순히 그 파일들을 치워버리고 싶을 때가 있다. git clean
명령이 그 일을 한다.
보통은 Merge나 외부 도구가 만들어낸 파일을 지우거나 이전 빌드 작업으로 생성된 각종 파일을 지우는 데 필요하다.
이 명령을 사용할 때는 신중해야 한다. 이 명령을 사용하면 워킹 디렉토리 안의 추적하고 있지 않은 모든 파일이 지워지기 때문이다. 명령을 실행하고 나서 후회해도 소용없다. 지워진 파일은 돌아오지 않는다.git stash –all
명령을 이용하면 지우는 건 똑같지만, 먼저 모든 파일을 Stash 하므로 좀 더 안전하다.
워킹 디렉토리의 불필요한 파일들을 전부 지우려면 git clean
을 사용한다. 추적 중이지 않은 모든 정보를 워킹 디렉토리에서 지우고 싶다면 git clean -f -d
명령을 사용하자. 이 명령은 하위 디렉토리까지 모두 지워버린다. -f
옵션은 강제(force)의 의미이며 "진짜로 그냥 해라"라는 뜻이다.
이 명령을 실행했을 때 어떤 일이 일어날지 미리 보고 싶다면 -n
옵션을 사용한다. -n
옵션은 “가상으로 실행해보고 어떤 파일들이 지워질지 알려달라” 라는 뜻이다.
$ git clean -d -n
Would remove test.o
Would remove tmp/
git clean
명령은 추적 중이지 않은 파일만 지우는 게 기본 동작이다. .gitignore
에 명시했거나 해서 무시되는 파일은 지우지 않는다. 무시된 파일까지 함께 지우려면 -x
옵션이 필요하다. 그래서 .o
파일 같은 빌드 파일까지도 지울 수 있다.
$ git status -s
M lib/simplegit.rb
?? build.TMP
?? tmp/
$ git clean -n -d
Would remove build.TMP
Would remove tmp/
$ git clean -n -d -x
Would remove build.TMP
Would remove test.o
Would remove tmp/
git clean
이 무슨 짓을 할지 확신이 안들 때는 항상 -n
옵션을 붙여서 먼저 실행해보자. clean 명령을 대화형으로 실행하려면 -i
옵션을 붙이면 된다.
대화형으로 실행한 clean 명령의 모습은 아래와 같다.
$ git clean -x -i
Would remove the following items:
build.TMP test.o
*** Commands ***
1: clean 2: filter by pattern 3: select by numbers 4: ask each 5: quit
6: help
What now>
대화형으로 실행하면 파일마다 지우지 말지 결정하거나 특정 패턴으로 걸러서 지울 수도 있다.
'DevOps >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jenkins와 gitlab연동(github아니고 gitlab임!) (0) | 2018.10.31 |
---|---|
gitlab에서 root유저 패스워드 잃어버렸을 시 재설정방법 (0) | 2018.10.31 |
리모트 디포지토리에 있는 브랜치를 최초로 가져올때는 풀이아니라 체크아웃을 사용한다. (0) | 2018.08.21 |
GIT사용시 곤란할 경우 메뉴얼 31선 (0) | 2018.08.08 |
[Git]Git 모델링 (0) | 2018.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