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인론
A(원인)하기 때문에 B(결과)이다.
-원인론이 사실로 증명되면 이론, 그렇지 않으면 주장(가설)
목적론
B(목적)가 되기 위해서 A(수단)한다.
-올바른 목적론이 성립하기 위해선, B(목적)과 A(수단)의 위치를 원인론으로 바꾸어 넣었을 때 논리성이 성립해야한다.
가령,
목적론 : 돈을 벌기 위해서 취직한다.
-> 원인론 : 취직하기 때문에 돈을 번다
-목적론은 인간의 의도를 전제로 한다.
원인론의 결과는 두 가지의 성격을 가진다.
1. 인간의 의도를 가지고 있는 사실
2..인간의 의도를 가지고 있지 않은 사실
가령 다량의 수증기가 증발됐다(원인) -> 비가 왔다(결과)
면접을 봤다(원인) -> 컨설턴트가 되었다(결과)
위의 예에서 비가왔다라는 결과는 인간의 의도가 배제된 자연 현상이기 때문에 1번의 성격을 갖는 결과이며
컨설턴트가 되었다라는 결과는 인간의 의도가 포함되었기 때문에 2번의 성격을 갖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1번의 결과를 갖는 인과관계는 목적론으로 뒤지어 보았을 때 논리적 결함이 생긴다.
비가오기 위해서 다량의 수증기가 증발했다 (X)
컨설턴트가 되기 위해서 면접을 봤다(O)
첫번째 예문이 논리적 결함을 갖는 이유는 목적론이란 그 정의 자체가 어떤 목적(의도)를 전제로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원인론중 결과에 의도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인과관계는 목적론으로 바꾸었을 시 논리적 결함이 생기는 반면,
원인론중 결과에 의도가 포함되어 있는 인과관계는 목적론으로 바꾸었을 시 논리적 결함이 발생하지 않는다.
원인론과 목적론을 이용한 로직피라미드
'지혜 > 가치관제작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플함이란 무엇인가, 심플함은 왜 중요한가 (0) | 2018.06.20 |
---|---|
왜 인간관계에서 개인주의가 필요한가(아들러 심리학을 통한 인간관계의 고찰) (1) | 2018.06.20 |
인간을 구성하는 구성요소 (0) | 2017.12.19 |
자신감이란 무엇인가? 자존감이란 무엇인가? 자존심이란 무엇인가? (0) | 2017.12.19 |
성격이란 무엇인가? (0) | 2017.1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