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째 잠재적인 투자 대상 목록, 둘째 목록에 있는 투자대상의 내재가치 평가, 셋째 내재가치와 비교해서 가격이 어떠한지 판단하는 것, 넷째 가각에 포함된 리스크와 리스크를 포함했을 때 전체적인 포트폴리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
핵심 마인드
- 주식으로 돈버는 것 = 싸게사서 비싸게 파는 것 = 내재가치보다 가격이 저렴한 주식을 사서, 내재가치보다 가격이 비쌀때 파는 것
-> 싸게사는 것만이 리스크를 확실하게 낮출 수 있는 유일한 방법, 무조건 싸게 사야한다.
- 미리미리 공부해놓은 시장 혹은 주식이 떨어질 때까지 기다렸다가 때가되면 매수하는 거미 매수법
- 지수 혹은 종목이 올랐다 떨어졌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가? 해결될 이슈인가? 해결되지 않을 이슈인가?
- 특정한 숫자를 추정하지 말고, 방향성을 추정하라: 미래의 주가는 현재의 주가보다 하락할 것인가 상승할 것인가?
- 4 ~ 5년에 걸친 사이클에 함께 올라타는 것: 이게 되려면 남들 주식으로 돈벌었다고 좋아할 때 시장을 떠날 수 있는 용기, 남들 주식 절대 안한다고 할 때 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용기 필요
- 거래를 못했다고 아쉬워하지 마라. 일생에서 성공적인 베팅은 5번이면 충분하다. 거래가 많을 수록 손실의 위험도 커진다. 단, 충분한 공부를 통해 한 번을 크게 들어가라.
종목 타겟
Top-Down 탐색
자산군 탐색
시장 탐색
- 관심있는 시장 중심으로 시장에서 플레이하고 있는 기업 탐색
Bottom-Up 탐색
- Barron's
- 신문 기사 등 사방팔방에서 노가다로 얻은 기업에 대한 힌트
종목 분석
https://valuefactory.tistory.com/1503
매수
종목 관점 타이밍
- 내재가치보다 가격이 저렴한가?
- 이것보다 더 나쁜 소식이 있을 수 있을까?
- 왜 시장은 가치대비 가격이 낮은데 매수하지 않고 있는 것인가?
- 단기(1달), 중기(6개월), 장기(2년 이상) 中 언제쯤 매도할 생각으로 들어가는 종목인가?
- 시장지수가 flat하고, 종목이 fluctuation하다면 발라먹는 것도 나쁘지 않다는 생각 (ex. tesla
마크로 관점 타이밍
ㅌㅌㅌ
매도
- 3년에 2배, 연간 복리 기준 26% 성장할 때
- 이보다 더 좋은 소식이 있을 수 없을 때
'지혜 > 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커뮤니케이션하는 감 (0) | 2025.05.10 |
---|---|
수영하는 감 (0) | 2024.08.10 |
스트레칭 하는 감 (0) | 2024.04.24 |
농구 하는 감 (0) | 2023.11.04 |
Bullet작성법 및 워딩의 감 (0) | 2022.07.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