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에 궁극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투자수익률

금리란 타인자본을 빌림으로 인해서 발생하는 비용이다. 투자수익률이란 얼마만큼의 돈을 넣어서 얼마만큼의 이익이 발생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다.
 
금리가 투자수익률 보다 높다면, 사람들은 굳이 리스크가 큰 사업을 벌여서 돈을 벌 필요가 없다. 그냥 은행에 정기예금으로 두면 훨씬 안전하고 높은 수익을 벌어들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인플레이션 기대, 위험 프리미엄, 금융상품 만기, 투자자 심리 등등 금리에 크고 작은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많다. 그러나 궁극적으로 금리란 무엇인지 그 본질을 생각해 봤을 때 금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지표는 투자수익률이다.

정말 그럴까?

몇 가지 전제들

  1. 중앙은행은 경제주체들이 적절한 부채비율을 유지하는 조건 안에서, 은행이 더 많은 돈을 대출하는 것을 희망한다. 그 이유는 신용창출효과 때문인데, 은행이 기업에 돈을 빌려주고, 기업은 빌린 돈으로 사업을 하고, 사업은 고용을 일으키고, 고용은 개인의 소비를 촉진하고, 개인의 소비는 다시 기업의 매출을 증가시키는 경제 선순환이 곧 호경제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투자수익률 보다 낮은 금리를 유지하면서, 암묵적으로 각 경제 주체들의 대출을 선호한다.

시뮬레이션

정말 그런지 증명해 보기 위해, 시장금리, 투자수익률을 대변할 수 있는 3년 국고채 만기금리와 코스피 평균 ROE(당기순이익/자기자본)지표를 이용해 그 추세를 살펴보았다. 사실 ROE는 값을 왜곡할 수 있는 수치들이 들어가 있어서, ROIC로 관찰해보고 싶었지만 ROIC는 구하기 어려운 수치다. 이러한 이유로 ROE로 투자수익률을 대신했다.
 
관찰에 사용된 변수는 3년 국고채 만기 금리, 코스피 평균 ROE 그리고 인플레이션율이다. 시장실질금리 = 3년 국고채 만기 금리 - 인플레이션, 실질 ROE = 코스피 평균 ROE - 인플레이션율로 계산했다.  

2008~2020까지 실질ROE와 시장 실질금리의 추이(테이블)
2008 ~ 2020 실질ROE와 시장 실질금리의 추이(그래프)

위 관찰에서 알 수 있는 것은, 2013년과 2008년 글로벌한 경제악화에 의해 ROE가 크게 감소한 특수한 시점을 빼놓고 기본적으로 실질ROE가 시장 실질금리보다 상단에 위치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 데이터 출처
- 코스피 평균 ROE: 유가증권 산업별 수익현황(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343&tblId=DT_343_2010_S0017)
- 국고채 3년 이자율: e나라지표 시장금리 추이(https://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073)
- 인플레이션율: 한국은행 인플레이션율 추이

시사점

투자수익률과 인플레이션율은 시장에 의해서 자연적으로 결정되는 수치이다. 반면, 시장금리는 단기적으로 중앙은행에 의해 컨트롤 될 수 있는 변수이다. 투자수익률이 시장금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라면, 투자수익률의 변화를 통해 향후 금리의 추세를 예측해 볼 수 있겠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