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전지 관련주 및 전기차 배터리 서플라이체인 수혜주 총정리
마지막 수정일 8월 17, 2020 23,064 [0](https://en4u.co.kr/2%ec%b0%a8%ec%a0%84%ec%a7%80%ea%b4%80%eb%a0%a8%ec%a3%bc/#respond "에 대한 코멘트 남기기 : "2차전지 관련주 및 전기차 배터리 서플라이체인 수혜주 총정리"")
2차전지 관련주 중 생산업체인 LG화학, 삼성SDI, SK이노베이션은 너무나 잘 아실테고, 배터리에 들어가는 생산품 관련 업체를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2차전지 수혜주 업체를 설명해드리기 전에, 우선 리튬 배터리 구조도를 이해하시는 것이 투자에 도움이 될 거라고 생각합니다.
목록
5.2.1) 경쟁사 대비 고효율 실리콘 산화물 양산 및 개발 중
10) 2차전지 관련주 – 배터리 소재 국내 서플라이체인(공급처) 분석
리튬이온 배터리 구조도
리튬이온 배터리 구조도
그림을 보고 설명을 해드리자면, 왼쪽에는 양극재, 오른쪽에는 음극재가 존재하고 그 사이에 분리막이 존재합니다.
- 양극재 : 배터리 용량 + 출력
- 음극재 : 배터리 용량 + 배터리수명
- 전해질 : 리튬이온을 이동하게 하는 물질
- 분리막 : 양극과 음극이 섞이는 것을 방지
그리고 전해질로 메워져 있다고 생각하시면 이해가 쉬우실거라 생각합니다.
투자에 앞서 2차전지 소재 원가를 이해하실 필요가 있습니다.
2차전지 원가비중
- 양극재 : 35%
- 음극재 : 14%
- 분리막 : 16%
- 전해질 : 11%
- 기타소재 : 24%
2차전지 관련주 중 소재에 있어서는 양극재를 납품하는 회사가 가장 큰 수혜를 받을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최근 엄청난 주가 상승이 있었던 양극재 업체를 먼저 정리해 보겠습니다.
2차전지 관련주 리스트
국내 2차전지 관련업체
- 2차전지 제조업체 : LG화학, 삼성SDI, SK이노베이션
- 양극재 업체 : 에코프로비엠, 엘앤에프, 포스코케미칼
- 음극재 업체 : 포스코케미칼
- 전해액 업체 : 동화기업, 솔브레인
- 동박 업체 : 일진머티리얼즈, SKC, 두산솔루스
- 실리콘계 첨가물 : 대주전자재료
- 분리막 업체 : SK이노베이션
이외에도 많은 2차전지 관련주 리스트들이 있지만, 가장 주목을 받을만한 업체로 정리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2차전지 관련주 – 양극재 업체
에코프로비엠 하이니켈 양극재의 강자
주력 제품이 2차전지 원가의 약 40%를 차지하는 양극재 NCM(니켈 + 코발트 + 망간), NCA(니켈 + 코발트 + 알루미늄) 공급업체로, 니켈 비중이 높은 하이니켈계의 강자로 꼽힘
* 하이니켈이란 니켈 비중이 70%에서 80% 이상인 제품을 말함.
- 공급처 : 삼성SDI, SK이노베이션, 무라타 일부
- 국내 유일의 NCA 생산, Advanced NCM(니켈, 구리, 망간) 생산
- 2023년까지 CAPA 증설 예정, 증설분은 SK이노베이션 공급/삼성SDI NCM으로 공급 예정
에코프로비엠 투자시 알아둘 사항
- 2020년 2월 3일 SK이노베이션과 2023년까지 4년간 약 2조 7,413억원 규모의 양극재를 공급하기로 계약 체결 했기 때문에, 연 7천억원 가량의 매출을 확보했음.
- 삼성SDI와 ‘에코프로이엠’이라는 합작사를 설립함으로써, 삼성SDI와 견고한 관계 구축
엘앤에프
- LG화학, 삼성SDI 공급
- LG화학 양극재 내재화 영향을 받고 있기 때문에, 추이를 지켜볼 필요가 있슴
2차전지 관련주 – 음극재 업체
포스코케미칼
- 2차전지 매출 : 2019년 – 17%, 2020년 – 35% 예상
- 양극재 매출 : 2019년(1,270억), 2020년(2,140억)
- 음극재 매출 : 2019년(1,190억), 2020년(4,560억)
- 특이사항 : 양극재 2분기 매출 시작(310억)
대주전자재료
배터리 관련 특허를 110개나 보유한 회사로 실리콘의 단점을 극복해서, LG화학 파우치셀에 세계 최초 실리콘계 음극재 상용화에 성공
경쟁사 대비 고효율 실리콘 산화물 양산 및 개발 중
Sio 제조사 | Sio 전지 성능 | 개발 현황 |
---|---|---|
대주전자재료 | ~ 80% | 결정질/비정질 SiO 양산 |
고효율 실리콘복합산화물 양산 (ICE ~ 80%) | ||
고효율 실리콘복합산화물 개발 중 (ICE ~ 85%) | ||
Shinetsu | 74% ~ 75% | 결정질 SiO 양산 |
Li pre-doped 고효율 SiO 개발 중 | ||
OTC | 72% ~ 73% | 결정질/비정질 SiO 양산 |
Li pre-doped 고효율 SiO 개발 중 | ||
BTR | 73% ~ 75% | 결정질/비정질 SiO 양산 |
Li pre-doped 고효율 SiO 개발 중 |
경쟁사의 경우 효율이 70%대에 머물러 있는 반면, 대주전자재료는 효율 80% 소재 양산중
소재의 경우 승인을 받는 데 소요되는 시간이 2년이라는 것이 대주전자재료의 장점 부각
- 음극재 효율을 개선하는 Siox(실리콘 복합 산화물) 생산
- Siox(실리콘 복합 산화물) 5% 첨가시 배터리 성능 약 15% 가량 증가
- Siox 매출 : 2019년(60억), 2020년(약 200억), 2021년(약 500억)
- 특이사항 : 가능성은 있지만, 이익이 안나고 있음
나노신소재
- 사업분야 : 2018년 디스플레이(38.2%), 반도체(17.1%), 태양전지(10.4%), 기타(34.3%)
- 특이사항 : 성장성은 있지만, 본업이 하락 중
2차전지 관련주 – 장비업체
필옵틱스(Philoptics)
최근 주가가 기어가고 있는 실정이지만, 2020년도에 실적 턴어라운드가 확실시 되고 있어서 지켜볼 필요가 있음. (9분기만에 흑자전환)
필옵틱스 사업구조 및 실적
OLED 및 2차전지 제조 공정에 사용되는 레이저 장비 생산
2020년 예상 : OLED(1500억 ~ 1700억원), 2차전지 장비(1000억 ~ 1200억)
매출처 : 삼성SDI
필옵틱스 특이사항
2차전지 제조 공정 레이져 장비 뿐만 아니라, 플렉시블 OLED의 고성장에 전망에 따라 UTG 수혜주로도 분류됨
2차전지 관련주 – 전해질 업체
천보
연도별 주력사업 매출 점유율
- 2019년 : 디스플레이(31%), 2차전지 소재(26%), 반도체 소재(24%)
- 2020년 : 디스플레이(27%), 2차전지 소재(50%), 반도체 소재(17%)
참고 할 사항
사업분야가 디스플레이, 반도체 니치마켓 소재 공급, 2차전지 소재 확대 등으로 좋아 보임
솔브레인
2차전지 약 10%
2020년 연간 실적은 매출액 1.08조원(+6.2%), 영업이익 2,037억원(18.8%)으로 역대 최대 실적을 갱신할 전망
삼성전자 NAND 신규 투자시 특수 소재 공급으로 인한 실적 강도가 쎌것으로 예상
6월 29일 부로 솔브레인홀딩스(0.55%)와 신설법인 솔브레인(0.45%) 분할 준비 중
2020년 연간 실적은 매출액 1.08조원(+6.2%), 영업이익 2,037억원(18.8%)으로 역대 최대 실적을 갱신할 전망
삼성전자 NAND 신규 투자시 특수 소재 공급으로 인한 실적 강도가 쎌것으로 예상
6월 29일 부로 솔브레인홀딩스(0.55%)와 신설법인 솔브레인(0.45%) 분할 준비 중
동화기업
파낙스이텍 인수를 통해서 2차전지 전해액 사업을 시작한 회사로, 생산능력은 2019(3.3만톤), 2020년(4.1만톤), 2021년(6.1만톤)으로 생산량이 점차 늘어나고 있습니다.
동화기업 투자포인트는 국내 배터리 제조사 중 삼성SDI와 SK이노베이션에 납품을 하고 있고, 국내 고객사와 전고체 배터리를 개발중에 있기 때문에 매우 유망한 기업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개인적인 TOP Pick으로 2차전지 관련주 중에는 장비업체보다는 꾸준히 소모되는 소재/부품주 관련업체들을 선호하는 편입니다.
후성
2차 전지용 전해질(LiPF6) 약 20%
전해액은 필수 소재인 전해질(LiPF6), 촉매 역할의 첨가제, 유기용매의 합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LiPF6은 전해액을 만드는 데 반드시 필요한 물질이며, 전문가들은 당분간 LiPF6을 대체할 수 있는 경제성 및 안정성을 가진 소재는 안나올 것으로 예상
- LiPF6을 국내에서 유일하게 생산
- 전기차 배터리용 LiPF6 생산능력 증가(2,200톤 → 5,600톤)
2차전지 관련주 – 분리막 업체
LG화학
SK이노베이션
2차전지 관련주 – 부품업체
신흥에스이씨
삼성SDI에 전해액 누수방지 모듈(캡 어셈블리) 공급
헝가리 공장의 생산능력을 2019년부터 큰 폭으로 늘리는 중
(2018년 월 1.2백만개에서 2019년 3.2백만개, 올 연말는 5.2백만개로 확대)
2차전지 관련주 – 배터리 소재 국내 서플라이체인(공급처) 분석
제조사 | 양극재 | 음극재 | 분리막 | 전해액 | 동박 | 실리콘계 첨가물 |
---|---|---|---|---|---|---|
삼성SDI | – 에코프로비엠 | |||||
– 엘엔에프 | – Mitsubishi Chem | |||||
– BTR | – Asahi Kasel | |||||
– Toray | ||||||
– W-Scope | – 동화기업 | |||||
– Central Glass | ||||||
– Mitsubishi Chem | – 일진머티리얼즈 | |||||
– CCP | – BTR | |||||
LG화학 | – 포스코케미칼 | |||||
– 엘앤에프 | ||||||
– LG화학 | ||||||
– Umicore | ||||||
– Nichia | – 포스코케미칼 | |||||
– BTR | ||||||
– Mitsubishi Chem | – Toray | |||||
– Senior | ||||||
– SEMCORP | – 엔켐 | |||||
– Capchem | ||||||
– Ube | – SKC | |||||
– 일진머티리얼즈 | ||||||
– Wason | – 대주전자재료 | |||||
SK이노베이션 | – 에코프로비엠 | |||||
– 엘앤에프 | ||||||
– Umicore | – 포스코케미칼 | – SK이노베이션 | – 솔브레인 | |||
– 동화기업 | – 두산솔루스 | |||||
– CCP | – 대주전자재료 |
최근 소.부.장의 관심이 장난이 아닌 것 같습니다. 반도체의 경우 장비 관련업체가 주목을 받은데 비해, 2차전지의 경우는 소재업체가 시장에서 주목을 받을것으로 보입니다.
배터리 소재 국외 서플라이체인(공급처) 분석
제조사 | 양극재 | 음극재 | 분리막 | 전해액 | 동박 | 실리콘계 첨가물 |
---|---|---|---|---|---|---|
파나소닉 | – Sumitomo Metal Mining | |||||
– Nichia | – Hitachi Chemical | |||||
– JFE | ||||||
– Mitsubishi Chem | – Sumitomo | – Mitsubishi Chem | ||||
– Ube | – Nippon denkal | |||||
– Furukawa | ||||||
– SKC | – Shinetsu | |||||
– Hitachi Chemical | ||||||
CATL(중) | – Pulead | |||||
– ShanShan | ||||||
– XTC | – Shan Shan | |||||
– BTR | ||||||
– Putailai | – SEMCORP | |||||
– Cangzhou Mingzhu | ||||||
– Jieli | ||||||
– Senior | – Guotai Hualong | |||||
– Tinci-Kaixin | ||||||
– Capchem | – 일진머티리얼즈 | |||||
– Wason | ||||||
– Nuode | ||||||
– CCP | – BTR |
같이 보시면 좋은 글
MLCC 스마트폰 관련주 전망 및 mlcc 구조와 제조공정 살펴봐야 하는 이유!
공인인증서 폐지 관련회사 분석 및 관련주
5G 관련주 그린뉴딜 정책과 미중 무역전쟁 수혜주까지 총정리!
비메모리 반도체 관련주 – 시스템 반도체 수혜주 총정리
8월 9일자 첨언
최근 LG화학을 비롯한 3대 배터리 업체의 주가가 폭등을 하고 있습니다.
당연히 위 3사에 투자하는것이 좋겠지만, 20년만에 흑자를 달성한 LG화학을 주목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그렇다고 다른 회사가 나쁘다는것은 절대 아닙니다. 다만, 시총에 영향을 주는 대형주에 투자하기 보다는 LG화학에 소부장을 공급하는 서플라이체인에 주목해 볼 필요가 있어보입니다.
(초짜의 생각이니, 참고만 해보시기 바랍니다. ^^)
2차전지 관련주2차전지 대장주2차전지 수혜주배너리 수혜주배터리 관련주배터리 테마주전기차 배터리 관련주
'Finance Investment > 에너지 및 장비서비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전자/2차전지 3 가지 업황 이슈 분석: 차량용 반도체 부족에 따른 2차전지 수요 약화?, 원통형 베터리 공급부족의 결과는? 베터리 원재료 상승의 결과는? (0) | 2021.03.10 |
---|---|
전기차 보급에 따른 에코시스템의 변화, 전기차 보급에 따른 새로운 밸류체인의 성장 (0) | 2021.01.16 |
[에너지]수소 경제 밸류체인 분석 (0) | 2021.01.10 |
[대체에너지]풍력설비산업 기초분석: 벨류체인, 벨류체인별 비중, 국가별 풍력발전 시장 (0) | 2020.12.22 |
[2차전지] 전고체 배터리란 무엇일까? (0) | 2020.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