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수익률은 금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
금리에 궁극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투자수익률
금리란 타인자본을 빌림으로 인해서 발생하는 비용이다. 투자수익률이란 얼마만큼의 돈을 넣어서 얼마만큼의 이익이 발생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다.
금리가 투자수익률 보다 높다면, 사람들은 굳이 리스크가 큰 사업을 벌여서 돈을 벌 필요가 없다. 그냥 은행에 정기예금으로 두면 훨씬 안전하고 높은 수익을 벌어들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인플레이션 기대, 위험 프리미엄, 금융상품 만기, 투자자 심리 등등 금리에 크고 작은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많다. 그러나 궁극적으로 금리란 무엇인지 그 본질을 생각해 봤을 때 금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지표는 투자수익률이다.
정말 그럴까?
몇 가지 전제들
- 중앙은행은 경제주체들이 적절한 부채비율을 유지하는 조건 안에서, 은행이 더 많은 돈을 대출하는 것을 희망한다. 그 이유는 신용창출효과 때문인데, 은행이 기업에 돈을 빌려주고, 기업은 빌린 돈으로 사업을 하고, 사업은 고용을 일으키고, 고용은 개인의 소비를 촉진하고, 개인의 소비는 다시 기업의 매출을 증가시키는 경제 선순환이 곧 호경제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투자수익률 보다 낮은 금리를 유지하면서, 암묵적으로 각 경제 주체들의 대출을 선호한다.
시뮬레이션
정말 그런지 증명해 보기 위해, 시장금리, 투자수익률을 대변할 수 있는 3년 국고채 만기금리와 코스피 평균 ROE(당기순이익/자기자본)지표를 이용해 그 추세를 살펴보았다. 사실 ROE는 값을 왜곡할 수 있는 수치들이 들어가 있어서, ROIC로 관찰해보고 싶었지만 ROIC는 구하기 어려운 수치다. 이러한 이유로 ROE로 투자수익률을 대신했다.
관찰에 사용된 변수는 3년 국고채 만기 금리, 코스피 평균 ROE 그리고 인플레이션율이다. 시장실질금리 = 3년 국고채 만기 금리 - 인플레이션
, 실질 ROE = 코스피 평균 ROE - 인플레이션율
로 계산했다.
위 관찰에서 알 수 있는 것은, 2013년과 2008년 글로벌한 경제악화에 의해 ROE가 크게 감소한 특수한 시점을 빼놓고 기본적으로 실질ROE가 시장 실질금리보다 상단에 위치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 데이터 출처
- 코스피 평균 ROE: 유가증권 산업별 수익현황(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343&tblId=DT_343_2010_S0017)
- 국고채 3년 이자율: e나라지표 시장금리 추이(https://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073)
- 인플레이션율: 한국은행 인플레이션율 추이
시사점
투자수익률과 인플레이션율은 시장에 의해서 자연적으로 결정되는 수치이다. 반면, 시장금리는 단기적으로 중앙은행에 의해 컨트롤 될 수 있는 변수이다. 투자수익률이 시장금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라면, 투자수익률의 변화를 통해 향후 금리의 추세를 예측
해 볼 수 있겠다.